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에베레스트 청소를 총괄하는 비영리단체 사가르마타 오염통제위원회(SPCC)는 지난 4월부터 네팔 드론 스타트업 ‘에어리프트 테크놀로지’와 손잡고 드론 2대를 운영 중이다. SPCC와 에어리프트 테크놀로지는 중국 드론 제조업체 선전 다장이노베이션(DJI)이 제조한 드론은 에베레스트의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이 드론은 해발 5364m의 에베레스트 남사면 베이스캠프에서 해발 6065m에 위치한 캠프1까지 편도 약 6분 만에 비행할 수 있다. 베이스캠프에서 드론에 사다리나 로프 같은 장비를 연결해 캠프1에 보내면, 셰르파들이 이를 이용해 쓰레기가 가득 든 자루를 다시 드론에 연결해 베이스캠프로 내려보내는 식이다.
드론 1대 가격은 약 7만 달러(약 9519만원). 영하 20도에 달하는 낮은 온도와 시속 40㎞ 이상의 강풍에서도 작동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SPCC는 지난 한 달간 이 드론 2대로 280㎏ 이상의 쓰레기를 수거했다고 밝혔다.
등반 가이드로 활동하는 셰르파 락파 누루는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예년의 70% 수준 쓰레기를 드론이 대신 처리했다”며 “더 큰 짐을 나를 수 있는 드론이 많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에어리프트는 앞으로 네팔 당국과 함께 에베레스트를 포함한 8000m급 고봉에서 더 많은 드론 기종을 시험 운용할 계획이다. 유럽과 미국의 여러 드론 기업들도 시험 장비 제공에 나서겠다고 제안한 상태다.
에베레스트는 최근 등반객들이 남기고 간 폐기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매년 4월 말부터 5월 말까지 이어지는 봄 등반 시즌이면 수만 명이 몰리며 쓰레기 문제도 덩달아 악화된다. 기후 변화로 빙하가 녹으면서 수십 년 전 묻힌 쓰레기들이 빙하수에 섞여 마을로 흘러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네팔 정부는 정상 등반 허가를 받은 이들에게 최소 8㎏의 쓰레기를 수거해 내려올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보증금 4000달러(약 543만원)를 반환하지 않는다. 지역 당국은 위생 문제 해결을 위해 배설물 역시 전용 봉투에 담아 되가져오도록 규정하고 있다.
백재연 기자 energ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