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공사, 폐기물 감소·재생에너지·지역상생 성과 발표

입력 2025-07-01 10:53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전경. 공사 제공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는 1일 ‘2024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통계연감’을 발간하며 폐기물 감소, 재생에너지 생산, 환경관리, 지역 상생 등 전 분야에 걸친 주요 성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수도권매립지 반입폐기물 총량은 107만2000t으로 전년 대비 약 17% 감소했다. 폐기물 반입량은 2022년 39%, 2023년 27% 각각 감소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자원순환 측면에서는 반입폐기물의 43%(46만t)를 자원화해 재생에너지를 생산했다. 하수찌꺼기(19만6000t)는 매립장 복토재와 고형연료로 활용됐고, 음식물폐수(26만4000t)는 바이오가스 시설을 통해 총 1740만3000㎥의 바이오가스를 생산, 자체 에너지로 활용하거나 전력 생산에 사용됐다.

매립된 폐기물에서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폐기물이 매립지 내에서 자연적으로 분해되며 발생하는 매립가스(LFG)를 전량 포집해 50㎿급 발전시설의 연료로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2024년 한 해 동안 188.7GWh의 전력을 생산·판매했다. 이는 약 5만 가구의 연간 전력 사용량이자 데이터센터 3개의 소비 전력에 해당하는 규모다.

공사는 자원순환 전문기관으로서 현재까지 총 44건의 폐기물 처리시설 설치사업 타당성 조사 등 해외사업을 수행해왔다. 지난해 기준으로는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을 포함한 5건의 해외사업을 추진 중이며, 특히 몽골 울란바토르 NEDS 매립장에서는 공사가 직접 시설 설치 및 운영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회와의 상생 성과도 이어졌다. 2024년 주민지원기금은 116억8000만원이 적립돼 1992년부터 현재까지 5071억원의 주민지원기금이 주변 지역 지원에 사용되고 있다. 더불어 2015년 4자 합의를 통해 반입수수료의 50%로 조성된 관할광역자치단체 지원금은 총 5792억원이 인천시의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환경개선 특별회계로 지원돼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개선에 함께 사용되고 있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주민 삶의 질 제고를 위한 문화·체육 인프라 이용도 확대됐다. 드림파크 체육시설(수영장 등)은 19만5000명이 이용했고, 봄·가을 축제를 개최하는 야생화단지 방문객은 53만9000명에 달했다. 자원순환 시설 견학 프로그램에는 학생, 주민, 해외공무원 등 8691명이 참여했다.

이와 함께 공사는 매립지 운영, 자원화 환경관리, 주민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 지역주민 등 2만3000여명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했다.

송병억 공사 사장은 “수도권매립지는 단순한 폐기물 처리시설을 넘어 자원순환, 재생에너지 생산, 온실가스 감축, 주민 삶의 질 향상까지 아우르는 지속가능한 환경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민과 지역사회가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공사 통계연감은 공사 누리집 정보자료실에서 전자책(E-BOOK) 형태로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수도권매립지 총 면적은 1600만㎡이며 제1·2매립장은 폐기물 매립 종료 후 사후관리 중이다. 현재 운영 중인 제3-1매립장의 매립률은 지난 5월 말 기준 64%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