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처럼 올해도 우승으로 마무리하고 싶어요.”
젠지 ‘기인’ 김기인이 MSI 2연패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젠지는 28일(한국시간)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막하는 2025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 참가를 앞두고 지난 27일 오후 인천공항 제2터미널을 통해 출국했다. 이들은 플레이-인 스테이지를 자동 통과, 내달 2일 브래킷 스테이지부터 일정을 시작한다.
출국 전 공항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에 응한 김기인은 “올해 LCK 1시드 자격으로 출전하는 만큼 이번 대회에 대한 기대가 남다르다. 지난해 우승하기까지의 과정들을 곱씹어보겠다. 연습 방법을 비롯한 좋은 기억들을 되살려서 좋은 결과를 내고, 올해도 좋은 기억들을 만든 채로 귀국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번 대회에 참가하는 대부분의 선수가 만남을 기대하는 상대로 LPL 팀들을 지명한 것과 달리, 김기인은 서구권 팀들과 만남이 더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LPL 팀들은 스크림에서 붙어보기도 한다. 반면 유럽 팀들은 스크림을 할 기회가 없다 보니 이렇게 국제대회에서 붙는 게 더 재밌다. 플레이 스타일이나 활용 챔피언도 다채로워서 더 기대된다”고 말했다.
지난해 LoL 월드 챔피언십 8강전에서 풀 세트 접전을 치른 끝에야 이겼던 상대, 북미의 강자 플라이퀘스트와 재대결이 성사될 수도 있다. 김기인은 “작년에 플라이퀘스트 상대로 굉장히 고전했던 기억이 있다”며 “재밌는 경기였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이번엔 재미없게 이기고 싶다”고 덧붙였다.
MSI의 메타와 경기 양상에 대해선 “직전 대회와 양상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25.12와 25.13패치에서 몇 개 티어 챔피언이 너프를 당하긴 했어도 그 외에는 이전 버전과 느낌이 비슷하다. 그웬이 너프를 크게 받기는 했지만, 이번 대회는 5판3선승제다. 4~5세트까지 가면 할 챔피언이 없어져서 결국 상황에 따라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버프를 받은 탑 챔피언은 잭스, 아트록스, 갱플랭크인데 이 챔피언들은 사실 메타와 관계없이 언제나 밴픽 흐름에 맞춰서 나올 수 있는 챔피언들”이라면서 “결국 LCK나 로드 투 MSI와 비슷하게 챔피언들이 등장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인천=윤민섭 기자 fla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