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한구 “새 정부 한미 협상 가속화 의지 설명”…트럼프는 관세 시한 압박 계속

입력 2025-06-28 08:47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2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주미한국 대사관에서 특파원 간담회를 열고 있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무역협상을 위해 미국을 방문한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27일(현지시간) “새 정부는 한미 협상을 최우선 순위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다”며 “새 정부가 선의를 갖고 한미 협상에 임하고, (협상을) 가속화할 준비가 돼 있다는 의지를 충분히 설명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다음 달 8일로 상호관세 부과 유예 시한을 설정한 가운데, 한국 정부는 한번 더 유예를 얻을 수 있을지는 장담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여 본부장은 이날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특파원간담회에서 “(한미 협상에서) 우리에 대한 상호관세와 자동차·철강 등 품목 관세, 향후 부과될 관세 일체까지 협의 대상에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재차 강조했다”며 “이번 협상은 관세 협상이기도 하지만 향후 한미간의 전략적인 협력을 틀을 새로 구출할 제조 르네상스 파트너십 기회이기도 하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강조했다”고 전했다.

여 본부장은 지난 22부터 이날까지 방미 기간 중 카운터 파트인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더그 버검 내무장관 겸 국가에너지위원회 의장 등과 만나 관세 등 통상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 등과도 만나 한미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고,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진영의 오피니언 리더들과도 만났다.

한국의 새 정부가 협상 가속화 의지를 밝혔지만 다음 달 8일로 예정된 관세 유예 시한까지 협상을 마무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미국 정부는 관세 유예 시한을 다시 연장하는 것에 대해선 엇갈린 설명을 내놓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은 이날 9월 1일까지 주요국과의 협상을 마무리할 것이라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유예 조치를 “연장할 수도 안 할 수도 있다”며 대부분 국가에 관세를 일방 통보하는 서한을 보내겠다고 밝혔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이날 특파원들을 만나 미국이 한국에 상호관세 시한을 더 유예해줄지에 대해서 “안심하고 있을 상황은 아니다. 아직 엄중한 상황임을 인식하고 긴박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해야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정치적인 환경 때문에 다른 나라에 비해 사실 진도가 많이 나가지 못한 측면이 있다”며 “(유예 시한까지) 2주가 채 안 되지만 아직 시간이 남아있고 아마도 최종 결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임박해서 결정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워낙 불확실성이 많기 때문에 어떤 확신을 가지고 말하기가 어렵다”며 “미국과 선의로 협상을 해왔다고 인정되는 국가에는 좀 더 유예하면서 계속 협상을 진행하자고 할 수도 있고, 선의가 별로 없고 미국으로서 협상 진행에 어려움을 겪은 국가들이라면 어떤 형태로 페널티가 올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워싱턴=임성수 특파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