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언어적 존재…언어 제대로 쓸 때 하나님과 더 깊어져”

입력 2025-06-26 18:21
장준식 미국 세화교회 목사는 최근 서울 종로구의 바람이불어오는곳 사무실서 가진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하나님과 깊은 교제를 위해 기도의 언어를 다시 익힐 것”을 강조했다. 신석현 포토그래퍼

“하나님과 소통하는 ‘기도의 언어’는 외국어와 비슷하다. 모국어와 달리 따로 배워야 한다.”

신간 ‘예배자의 기도’(바람이불어오는곳)를 펴낸 장준식(52) 미국 실리콘밸리 세화교회 목사가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자주 강조한 말이다. “자본주의에 노출된 현대인의 언어로 발화된 기도는 넋두리와 욕망의 표출, 세속적 성취의 기쁨에 관한 감정적 감사 표현이 대부분”이므로 “그리스도의 말씀과 서사, 신학과 일상이 담긴 언어로 재구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세대 국어국문학과와 미국 에모리대를 거쳐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에서 박사 과정 중인 장 목사는 신학자와 목회자, 시인이란 3중의 정체성을 지녔다. 책은 그가 자신의 이러한 특성을 십분 활용해 교회력에 맞춰 지은 기도시 104편을 실은 기도시집이다. 실제 교회서 낭독했던 기도시 중 2년치 분량을 추렸다. 어머니 간호차 방한한 장 목사를 최근 서울 종로구의 출판사 사무실서 만났다. 아래는 일문일답.

-흉금을 토로하듯 기도하면 안 됩니까.

“저도 예전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3대째 목회자 가문에서 자란지라 기도는 모국어처럼 입에서 자연스레 터져 나오는 거라고 여겼지요. 문제는 우리의 언어가 자본주의에 길들여진, 일종의 오염된 상태라는 겁니다.”

-예를 든다면.

“‘주문 도와드리겠습니다’ 같은 어법에 없는 표현을 평소 자주 쓰고, 물건에도 존칭을 씁니다. 그럼에도 불편을 거의 느끼지 못하지요. ‘비즈니스 용어’로 언어와 생각이 잠식됐기 때문입니다. 이럴 때 우리는 서로에게 고객일 뿐입니다.”

장준식 미국 세화교회 목사는 “자본주의에 잠식된 언어로 기도하기보단 그리스도의 말씀과 서사, 일상이 담긴 언어로 기도할 것”을 권한다. 사진은 한 여성이 직장에서 인상을 쓴 채 손 모아 기도하는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오염된 언어가 진정한 기도를 막는다는 말씀이군요.

“인간은 언어적 존재입니다. 언어를 제대로 쓸 때 사람 간의 관계뿐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도 깊어질 수 있습니다. 지구상 생명체를 바라볼 때도 언어를 잘 써야지만 이들과 공존하며 살 수 있습니다.

제자들 역시 예수께 ‘기도를 가르쳐 달라’(눅 11:1)고 하지 않습니까. 이 말씀은 제게 ‘기도는 배워서 하는 것’이란 깨달음을 줬습니다. 이 책의 핵심이기도 합니다.”

-교회력에 맞춰 기도시를 쓴 이유가 있습니까.

“교회력은 단순한 교회의 행사력이 아닙니다. 여기엔 예수의 오심과 삶, 죽음과 부활의 서사가 한데 녹아있습니다. 말씀과 신학뿐 아니라 일상도 아우르지요. 이 기간을 기념하기 위해 진솔하되 절제된 언어로 기도시를 지어 주일예배 전 낭독했습니다. 성도들과 시를 나누며 함께 기도를 배워보자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장준식 미국 세화교회 목사는 “교회 강단에서 설교하기 힘들 때 시편을 읽으며 기도했다”며 “말씀 중심으로 기도하는 이 경험 또한 기도에 대한 생각을 바꾸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사진은 시편이 펼쳐진 영어 성경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서구 유명 신학자도 기도서를 여럿 냈습니다.

“칼 바르트, 스탠리 하우어워스 등 걸출한 신학자들이 기도서를 많이 썼습니다. 저 역시 이를 애독하고 번역해 예배에 사용하기도 했지만 우리 예배 현장과는 다소 맞지 않는 부분이 있습니다. 우리네 삶의 정황이나 한국적 정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아쉬움입니다.

이를 고려해 우리 맥락에 맞는 표현을 활용해 오롯이 하나님께 다가서는 시를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20년 목회 경험도 일반 성도의 눈높이에 맞춘 기도시를 쓰는 데 큰 도움이 됐습니다.”

-본문 중 특히 마음에 남는 시가 있습니까.

“1970년대 생태 문제가 본격 대두되면서 세계 교회가 교회력에 새로 추가한 ‘창조절’ 기도시가 기억에 남습니다. ‘주님께 창조란/ 단순히 만듦이 아니라/ 부르심입니다.//우리가 창조됐다는 것은/ 곧 우리가 주님의 부르심을 받았다는 뜻입니다’ 등의 창조 관련 시구가 들어가는 기도입니다.

창조절은 한국교회엔 아직 낯선 편이긴 합니다. 이번 책으로 ‘교회에 이런 절기가 있고, 이런 기도를 하는구나’라는 걸 알려 독자의 이해를 넓히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독자에게 전하고픈 얘기가 있다면.

“기도나 설교를 준비하다 보면 그 안에 자주 쓰는, 틀에 박힌 표현이 거슬릴 때가 있습니다. 저 역시 그랬고요. ‘이게 과연 기도에 걸맞은 문장인가’ 싶은 표현도 있을 것입니다. 책은 이런 제 고민의 결과입니다. 저처럼 기도의 언어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이 기도시가 선물 같은 존재로 다가갔으면 합니다.”

양민경 기자 grie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