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단순한 투자 유치를 넘어 기업의 지역 정착까지 지원하는 ‘원스톱 기업 지원체계’를 한층 강화한다. 전담 공무원 확대와 규제 해소를 통해 기업이 찾아오고 머물고 싶은 환경을 조성한다는 전략이다.
부산시는 26일 시청에서 ‘원스톱투자지원협의체’ 회의를 열고 ‘기업 투자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이 협의체는 부산시를 비롯해 부산상공회의소, 산업단지공단, 한국전력, 수자원공사, 4개 기초지자체 등 13개 기관이 참여하는 민관 협력 조직으로 지난해 6월 출범했다.
시는 이번 계획에서 원스톱 기업 지원체계 강화, 대규모 사업장 신속 가동, 기업 규제 혁신, 행정 역량 강화 등 4대 분야 21개 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원스톱 지원체계 강화 방안으로 전담 공무원(PM) 운영 대상을 기존 4개사에서 8개사로 확대하고 권역별 전담 창구도 마련한다. 부산지역 1000대 기업 중 30여 곳에는 상시 대응 창구를 신설한다. 부산상의에는 시 소속 공무원인 ‘기업정책협력관’을 계속 파견해 민간과의 유기적 협업을 강화하고, 원스톱기업지원센터의 현장 활동도 확대할 방침이다.
대규모 투자사업장 지원 대상에는 올해 DN오토모티브, 농심, LS일렉트릭, 비투지 등 4개사가 새로 포함됐다. 시는 전력·용수 확보, 인허가 지연 등 개별 기업이 겪는 애로에 대해 맞춤형 대응에 나선다. 특히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추진 중인 DN오토모티브, 수출 공장 증설에 나선 농심, 전력반도체 생산설비를 구축 중인 비투지 등은 기반 인프라 확보가 핵심 과제로 꼽힌다.
규제 해소를 위해서는 민관 합동 규제발굴단과 기업 간담회, 컨설팅 감사를 통해 현장 애로를 직접 발굴하고 실무협의회를 거쳐 즉시 실행 가능한 과제를 선별해 추진한다.
행정 역량 강화 분야에서는 실무 매뉴얼 발간과 공무원 대상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현장 대응력을 높이고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 중심의 홍보도 강화할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기업 투자는 지역경제 성장의 핵심”이라며 “원스톱 지원체계를 고도화해 기업이 찾아오고 머무르고 싶은 도시 부산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