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증권은 이날 ‘KB 주식전략, 12개월 타깃 상향: 강세장에 진입한 증시, 다음은 역사적 신고가’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목표지수를 제시했다. 보고서는 한국 증시가 정부 정책과 원화 강세에 힘입어 가치 재평가에 기반한 강세장에 진입했다고 분석했다. 최근 국내 증시는 지난 4월7일 저점(2328포인트)에서 두 달 반 만에 35%가 상승하는 ‘초강세’ 국면에 들어섰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은 “이러한 강세장의 핵심 동력은 정부의 자본시장 개혁정책에 대한 기대와 달러 약세(원화 강세)로 판단된다”며 “향후 상법 개정 등 정부의 자본시장 구조개혁 정책이 실현되고 달러 약세 기조가 지속된다면 증시는 추가 상승 여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코스피는 전통적으로 달러 약세 국면에서 강세를 보였는데 이는 기업이익의 증가 때문이 아니라, 달러 약세가 한국 증시 밸류에이션의 재평가를 촉발하기 때문”이라며 “추세적 달러 약세를 전제로 코스피 밸류에이션 재평가를 이끌 저 PBR(주가순자산비율)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여름과 가을에 걸친 단기 리스크도 있다고 언급했다. 이 연구원은 “기술적 지표들이 단기 과열권에 진입한 상태이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 재개 가능성도 높고, 실제 정부 정책과 시장의 기대 사이에 괴리도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같은 리스크는 연말에 일정 부분 해소될 것이라는 게 이 연구원의 전망이다. 그는 “연준이 올해 4분기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전망되고, 인하 시점이 늦어진 만큼 그 인하폭이 클 것”이라며 “관세 갈등도 연말에는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미국의 감세안 관련 예산 반영도 본격화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