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 160만명 줄어든다… 부양할 사람 없는 부울경 우려

입력 2025-06-24 14:28

동남권(부산·울산·경남)이 ‘인구 절벽’으로 향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다. 생산가능인구는 줄고 고령층은 급증하면서 미래 인구 구조가 극심하게 뒤틀릴 전망이다.

동남지방통계청이 24일 발표한 ‘동남권 저출생과 사회 변화’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부산·울산·경남의 인구는 총 744만6000명으로, 2000년보다 2.5% 감소했다. 특히 0~14세 유소년 인구는 같은 기간 47.9% 줄어든 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무려 191.5% 증가했다.

문제는 앞으로다. 통계청은 2052년 동남권 인구가 587만5000명으로 줄어들면서, 2022년 대비 23.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전국(-10.5%)이나 수도권(-5.3%)보다 훨씬 가파른 내림세다. 이 시기 고령층 비중은 45.5%, 노년부양비는 95.5명까지 치솟는다. 청년층 한 명이 노인 한 명을 부양해야 하는 구조다.

출산 상황도 심각하다. 동남권의 2023년 합계출산율은 0.74명으로, 2014년보다 0.53명 낮아졌다. 같은 해 출생아 수는 3만1000명으로 10년 전보다 절반 이상 급감했다. 평균 초혼 나이는 남편 33.9세, 아내 31.5세로 각각 1.6세 상승했다. 신혼부부 중 무자녀 가구 비율은 39.8%로, 2015년 대비 9.4% 포인트 증가했다.

혼인과 출생은 줄고, 저체중아 비율은 늘면서 양적·질적으로 모두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동남권 혼인 건수는 10년 전보다 45.7% 감소했고, 저체중아 출생 비율은 7.2%로 오히려 높아졌다.

주거비와 일자리 여건도 저출생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동남권 신혼부부의 주택 소유율은 47.8%로 감소했지만, 월 소득 대비 임대료 비율은 19%로 증가했다. 특히 부산은 22.6%로 전국 평균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66.4%로 다소 개선됐지만, 수도권(72.7%)과의 격차는 여전했고 상용직 비율도 낮은 편이다.

‘출산은 개인의 선택’이라는 인식도 확산하고 있다.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는 응답은 2018년보다 1.6% 포인트 하락한 71.7%에 그쳤고,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30.8%)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상적인 자녀 수는 평균 1.88명에 그쳤다.

동남권 주민이 꼽은 저출생 해법으로는 ‘주거지원’(31.6%)과 ‘청년 일자리’(24.2%)가 가장 많았다. 그 외에도 돌봄 지원, 일·가정 양립 직장 문화 조성 등 실질적인 생활 기반 대책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