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G3’ 노린다…KAIST, 과학기술 혁신 나선다

입력 2025-06-24 13:48
KAIST 연구원이 AI연구를 위해 데이터 분석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모습.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인공지능(AI) 중심 가치 창출형 과학기술특성화대학’으로 거듭나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KAIST는 대한민국이 인공지능 주요 3개국(G3)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모든 국민이 소외 없이 AI를 활용할 수 있는 AI 기본사회’를 만들겠다고 24일 밝혔다.

이를 위해 ‘국가 AI 연구거점 사업’을 바탕으로 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각종 사회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계획이다.

KAIST는 2020~2024년 ICML·NeurIPS·ICLR 등 머신러닝 분야 관련 최고 3대 학회 순위에서 세계 5위, 아시아 1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머신러닝, 자연어처리 등과 관련한 논문 수는 세계 5위 및 아시아 4위를 차지했으며 세계 최고 권위의 반도체 집적회로 학술대회인 ISSCC에서는 평균 논문 채택 수 세계 1위를 차지했다.

현재 초거대 AI 모델과 뉴로모픽 반도체, 저전력 AI 프로세서 등 핵심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자율주행·도심항공교통(UAM) 등의 응용 분야까지 연구를 확대하고 있다.

AI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로봇 분야는 실용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앞서 황보제민 KAIST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재난구조 및 험지 탐사 등 고위험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RAIBO) 2’를 개발해 주목을 받았으며, 공경철 교수팀과 엔젤로보틱스는 보행 장애인을 위한 외골격 로봇 ‘워크온 슈트’를 개발했다.

KAIST는 앞으로도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지에서 인재를 영입·육성해 새 정부 국정과제인 AI 강국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국정과제인 G3 AI 강국 실현을 위해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라며 “AI 분야에 대한 KAIST의 비전은 모든 사람이 AI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는 것이다. AI를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회복하고 각종 기술을 산업 현장에 보급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강조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