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공공건축 설계공모 제도가 대폭 손질된다.
제주도는 공공건축물의 품질 향상 등 운영 내실화를 위해 ‘공공건축 설계공모 운영 개선 방안’을 마련해 2026년부터 적용한다고 24일 밝혔다.
주요 내용을 보면 설계공모 당선작에 대한 심사 결과 공개 기준이 세분화된다. 도는 심사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심사위원들에게 책임감을 부여하기 위해 선정작에 대해 심사위원 개별 의견을 공개하기로 했다. 기존에는 심사위원단 전체 의견만 공개했었다.
심사위원 위촉 방식도 바뀐다. 건축 단체의 추천을 받아 구성하던 것에서 능력 중심으로 도내외 인사를 적극 발굴해 구성하기로 했다.
사각지대에 있던 소규모 공공건축 사업의 품질 관리도 강화한다. 도는 설계비가 적어 공공건축지원센터의 사전 검토나 공공건축심의위원회 심의 대상에서 제외되는 소규모 사업에 대해 공공건축가가 직접 기획 업무를 지원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부실한 기획, 사업비 증가, 기간 지연 등 그간 제기된 문제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설계비 1억원 이상 설계공모 대상 사업에는 프로젝트 건축가를 지정해 전문성을 더하기로 했다. 프로젝트 건축가는 기획 검토부터 공모지침서 작성, 질의응답, 김술 검토, 심사에 이르기까지 일관성있는 전문적 실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함께 도는 설계공모 사후 모니터링 제도를 신설해 당선작이 실제 설계·시공 단계에서 계획대로 구현되는지를 확인하고, 공모안과 설계 내용을 데이터베이스화해 향후 제도개선에 활용할 방침이다.
‘공공건축 설계공모 운영 개선 방안’은 총괄·공공건축가, 건축 관련 단체의 의견을 수렴해 보완한 뒤 내년 정식 시행할 예정이다.
양창훤 제주도 건설주택국장은 “이번 제도개선을 통해 공공건축물의 품격을 높이고, 설계공모 전 과정에서 전문성과 투명성, 공정성을 확보해 도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