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경찰, 대학, 민간단체 등과 함께 청소년·청년 마약류 사용자를 대상으로 조기 개입을 바탕으로 한 치료 지원에 나선다. 마약사범 10명 중 6명이 20~30대로 나타나자 공동 대응에 나선 것이다.
서울시는 23일 서울시청에서 ‘마약퇴치: 미래를 위한 약속-안전한 서울, 함께하는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서 시와 서울경찰청, 서울시교육청, 서울시의사회, 저스피스재단, 시내 20개 주요 대학 등 관계기관은 마약류 퇴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기관은 중독자 치료와 재활, 마약 예방 교육 등에서 힘을 합칠 예정이다.
지난 15일 발표된 대검찰청의 ‘2024년 마약류 범죄백서’를 보면 지난해 마약사범 2만3022명 중 1만3996명(60.8%)이 20~30대였다. SNS와 다크웹 등 비대면 온라인 거래가 확산하며 20~30대 마약 사범 비중이 높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마약사범 중 치료보호 참여율은 10.6%에 불과하고, 재범률은 34.5%에 달해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번 협약을 통해 참여 기관들은 청소년·청년 투약자가 경찰 조사 즉시 상담과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조기 개입 모델’을 구축할 방침이다. 현행 ‘사법-치료-재활 프로그램’은 구형이나 판결 후 치료보호가 시작된다. 이 때문에 마약 적발 시점부터 치료 시작까지 수개월에서 1년 이상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기관들이 조기 개입을 통해 마약 치료를 위한 골든타임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아울러 시는 전국 최초로 마약 대응 전담팀도 운영 중이다. 예방부터 검사, 상담, 치료, 사회 복귀까지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약관리센터도 시립은평병원 내에 올 하반기 중 문을 연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마약에서 벗어나고 싶어도 도움 요청이 어려워 막막했던 시민들이 혼자 힘들어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회복과 재활, 교육과 지원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사회적 기반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김용헌 기자 y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