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한미 고위급 통상 협의가 다음 주 미국에서 열린다. 한미는 다음 달 8일까지 합의를 이루기로 하고 협의를 이어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2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해 현지에서 미국 측과 통상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21일 밝혔다.
여 본부장은 이번 방미 기간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를 비롯한 미국 정부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관세 문제 등 통상 현안을 놓고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 통상 당국은 관세 문제 등과 관련해 다음 달 8일까지 ‘줄라이 패키지’(7월 포괄 합의)를 도출하기로 하고 협의 중이다.
현재 서로 구체적인 희망 사항을 제시하고 밀고 당기기식 협상을 시작하려는 단계까지 나간 상태다.
미국은 자국 상품 구매 확대를 비롯한 무역 균형 추구와 함께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제한부터 구글 정밀 지도 반출에 이르는 다양한 ‘비관세 장벽’ 문제 해결을 우리 측에 구체적으로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 본부장은 이번 협의에서 미국이 전 세계에 부여한 철강·자동차 등 품목 관세와 한국에 예고한 25%의 상호관세를 면제받거나 최대한 낮추기 위해 노력한다는 방침이다.
무역 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이미 25% 자동차 관세 영향으로 핵심 주력 시장인 대미 자동차 수출이 지난달 30% 이상 급감하는 등 경제 충격이 가시화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6월 대선 등 국내외 정치적 상황 등으로 협의가 예상보다 속도를 내지 못하면서 7월 8일 합의 목표가 지켜지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이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