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시엠립까지 비행기로 50분, 시엠립에서 다시 차로 2시간30분을 더 달려야 닿는 곳. 캄보디아 최북단 안롱벵은 변방 중 변방이다. 중앙선도 없는 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아스팔트는 흙먼지로 덮여가고, 중간중간 인터넷도 끊어진다.
안롱벵은 전쟁의 상흔이 남은 국경 마을이다. 최근 기아대책(회장 최창남) 캄보디아 회복캠페인 일행을 실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안롱벵 도로 위를 주행하다 갑자기 멈춰선 곳은 지뢰 매설을 알리는 빨간 해골 표지판 앞. 건너편 거리에선 수년 전 지뢰를 밟았다가 한쪽 다리를 잃은 주민들이 파리가 끓는 생선 바구니를 쳐다보며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1990년대까지 급진적인 좌익 무장 세력인 크메르루주가 정부군과 항전을 벌였던 안롱벵 마을 곳곳엔 아직 제거하지 못한 지뢰가 남아 있다. 차로 20분이면 태국에 갈 수 있는 이 마을은 마약 밀매업자들이 기승을 부리는 마약 위험지대이기도 하다.
28년째 마을 면장으로 일하고 있는 옷파(55)씨는 “안롱벵은 크메르루주 군의 거점이었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큰 관심이 없는 지역”이라며 “주민들은 프놈펜은커녕 시엠립도 가본 적 없는 가난한 이들이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뒤이어 이렇게 덧붙였다. “버려진 전쟁터 같은 이 마을에 한국인 부부가 온 뒤부터 마을이 차츰 살기 좋아지기 시작했다”고.
변방의 희망 인큐베이터
기아대책 황반석(53) 김지선(51) 선교사 부부가 안롱벵에서 사역을 시작한 때는 2011년. 안롱벵센터 문을 열면서부터다. 센터는 기아대책을 통해 세워진 현지 지역아동센터다. 센터에선 현지 아동을 대상으로 기아대책 중점 사업인 아동결연개발프로그램(CDP)을 지원하고 있다. 황 선교사 부부는 안롱벵 내 유일한 한인 선교사다.
2013년부터 안롱벵센터 CDP에 참여하고 있는 채이 차눈(16)군은 “한국 선교사님이 없었다면 꿈은커녕 책상에 앉아 공부도 못 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차눈군의 집은 얼기설기 이어붙인 판자 사이로 개미 때가 지나가고, 자동차 배터리로 하루에 한 시간 정도만 등을 켤 수 있다. 부모님은 일이 없어 물고기나 닭을 잡아 가족들의 끼니를 차린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그는 “기아대책 후원 덕에 중학교 공부를 마치고 고등학교에 진학하게 됐다”며 “은행원이 돼서 우리집처럼 가난한 가정을 돕는 게 꿈”이라고 전했다. 차눈군을 포함해 현재 안롱벵센터 CDP에 참여하는 아이들은 384명에 달한다.
황 선교사 부부는 2023년 5월, 센터 부지에 호프유치원도 세웠다. 오전 8시부터 오후 4시까지 종일반을 운영하는 마을 내 유일한 유치원이다. 2년 전 9명으로 시작됐고, 현재 41명의 아이가 출석하고 있다. 호프유치원에 4살 딸을 보내고 있는 론 로타(27)씨는 “남편은 타지에서 일하고 있어 5개월에 한 번 만나고, 생계를 위해선 나도 가게에 나가야 한다”며 “한국인 선교사님과 유치원 선생님들이 아이를 잘 돌봐줘서 안심하고 일할 수 있다”고 말했다.
자생력을 키우는 선교
센터는 교육 사업 외에도 아이들의 생활 환경 개선을 위한 지역개발 사업을 펼치고 있다. 빗물 집수 장치가 설치돼 아이들은 대장균 감염에서 벗어났고, 우기 때 침수되던 마을엔 징검다리가 놓여 아이들의 등하굣길이 안전해졌다. 어두웠던 마을 골목골목엔 가로등이 설치돼 야간 오토바이 사고와 범죄가 줄었다.
센터에서 진행하는 모든 사업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라 진행된다. 선교사가 해보고 싶은 일이 아닌 지역주민들이 원하는 사역 파악하기, 마을 리더들과 친밀한 관계 유지하기, 시설을 세울 때 기아대책은 재원을 대고 설치와 관리는 현지인이 맡기. 황 선교사는 “주민들 안에 주인의식과 자부심을 심는 과정이 꼭 필요하다”며 “혹시나 선교사가 떠나더라도 지역사회가 스스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처음부터 현지인과 사역을 고민하고 관리를 맡기는 게 진정한 자립을 위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회복 부축하는 한국교회
이번 회복캠페인에 참여해 안롱벵 아이들에게 생필품과 복음을 전한 이선목 숭의교회 목사는 “떡과 복음을 전해야 할 선교지가 참 많다는 걸 새삼 실감하게 된다”며 “선교에 관심이 없진 않았지만, 막상 우리 교회, 내 교인에게만 집중한 것 같다. 파송 선교사님들께만 선교를 맡겨 놓고 담임목사는 선교에 동참하지 않았던 시간을 반성하게 된다”고 고백했다.
닷새간 현지 사역을 살핀 그는 기아대책 캄보디아 선교를 부축할 실천 계획도 세웠다. 오는 9월 숭의교회는 기아대책과 함께 ‘생명과 나눔의 선교주일’을 통해 아동결연 프로젝트를 본격화한다. 이 목사는 “교인들이 교회 안 봉사에만 머물지 않고 선교 사역에 동참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게 담임목사의 역할”이라며 “성도들이 보내는 선교사의 사명을 가질 수 있도록 영적 마음가짐을 일깨우겠다”고 전했다.
안롱벵(캄보디아)=글·사진 이현성 기자 sag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