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을 얻어 미국 고향으로 돌아간 드루 선교사님은 자신이 죽으면 매장이 아닌 화장을 해달라고 유언을 남겼다고 합니다. 먼지가 되어서라도 꼭 다시 조선 땅으로 돌아가겠노라는 의지였죠.”
20일 전북 군산 군산중동교회(서종표 목사) 교육관. 서종표 목사의 이 같은 말에 장내에 옅은 감탄의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교회에 모인 이들은 전국 각지에서 온 목회자와 장로 등 200여 명. 이들은 전날 세계성시화운동본부 주최로 열린 ‘세계성시화 전북대회’ 참석차 군산을 찾았다. 마지막 일정으로 군산 지역의 대표 기독교 유적지를 둘러보기에 앞서 서 목사로부터 개괄적인 군산 지역 기독교 역사를 전해 듣던 참이었다.
서 목사가 앞서 말한 드루 선교사는 의사로서 전북 일대에서 의료선교를 펼친 알렉산드로 D 드루(1859~1926·한국명 유대모)이다. 드루는 윌리엄 전킨(1865∼1908·전위렴)과 함께 20세기 초 호남선교를 개척한 7인의 대표 선교사. 이른바 ‘7인의 개척자’로 꼽힌다.
교회를 나서 전킨과 드루가 선교의 첫발을 내디뎠다는 곳을 향했다. 장미동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인근이다. 당시 전킨과 드루는 미국 버지니아에서 출발해 하와이, 일본을 거쳐 부산으로 다시 또 인천에서 군산에 이르는 3개월이 넘는 긴 여정 끝에 도착했다고 전해진다. 바닷가에 인접해 당시만 해도 배가 한창 들락거렸을 곳은 아스팔트와 현대식 건물로 덮여 옛 흔적은 찾을 수 없었다. 대신 군산근대역사박물관 옆에 놓인 표지석만이 당시를 기억하고 있었다. 표지석이 있는 장미동이란 지명의 유래는 쌀을 모아둔 곡간이라는 의미에서 왔다. 일제 치하 당시 대대적인 자원 수탈이 이뤄졌던 곳이다.
1894년 이곳 항구를 통해 군산에 들어온 드루는 이듬해 합류한 전킨과 함께 수덕산 기슭에 초가집 두 채를 얻은 후 본격적으로 선교를 시작했다. 군산과 전주는 이들을 파송한 미국 남장로교의 호남선교 시작점이자 중심지였다. 당시 남장로교는 교회와 학교, 병원을 중심으로 사역했다. 전킨은 교회 개척과 보육원 사역, 교육 선교를, 드루는 의료선교에 헌신했다. 드루는 “내가 누워있으면 조선인이 죽어간다”는 말을 할 정도로 의료선교에 매진했다고 한다. 1896년 한 해 동안 2700여 명의 환자를 진료했고, 간단한 시술도 600여 차례 넘게 집도했다고 전해진다.
서 목사는 “전라북도가 전국에서 가장 복음화된 지역이라고들 하는데 이는 모두 전킨, 드루 선교사님들처럼 한 알의 밀알이 된 선교사님들의 희생과 헌신으로 열매를 맺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비록 쌀은 수탈당했어도 복음이라는 밀알은 전킨과 드루에 의해 군산에 심겨졌던 셈이다.
표지석을 뒤로하고 구암동 군산구암교회를 찾았다. 한강 이남과 호남 최초의 군산 3·1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한 교회다. 전킨과 드루는 이 교회를 중심으로 선교 영역을 넓혀갔다. 교회 건물 전면에는 하늘을 향해 뻗은 8개의 기둥이 웅장함을 선사하는데, 당시 전킨과 함께 선교를 주도했던 윌리엄 레이놀즈(1867~1951·이눌서) 선교사 등 ‘7인의 개척자’ 그리고 한국인으로 이들의 어학 선생이었던 장인택 조사를 상징한다. 두 개의 탑을 갖춘 교회 건물은 초기 선교사들이 타고 온 배와 일제에 항거했던 만세운동을 형상화했다.
군산구암교회 옆으로 난 오르막길을 오르면 군산3.1운동100주년기념관이 보인다. 기념관 뒤편으로 발길을 옮기니 네 개의 비석이 눈에 들어왔다. 전킨, 드루를 비롯해 윌리엄 불, 윌리엄 해리슨 선교사를 기리며 세운 묘비다. 전킨은 1908년 전북 전주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기 전, “나는 궁멀 전씨다. 죽으면 궁멀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궁멀은 구암동의 옛 지명이다. 세 아들은 그 뜻을 받들어 유해를 군산으로 옮겨와 안장했다. 하지만 이후 시간이 흐르며 묘가 훼손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전킨기념사업회가 이곳에 묘비를 복원했다. 네 선교사의 고향 땅의 흙을 직접 미국에서 공수해 유골함에 함께 안장해 그 의미가 더 뜻깊다.
군산구암교회 앞에는 오는 9월 군산선교역사관이 들어설 예정이다. 역사관은 옛 멜볼딘여학교(현 군산영광여고) 건물을 본 따 한창 마무리 공사가 진행 중이다. 멜볼딘여학교는 1903년 군산영명학교(현 군산제일고)를 설립한 전킨이 지역 내 여학생을 위한 교육 기관의 필요성을 느껴 설립했다. 영명학교와 함께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거부한 군산 지역 항일운동의 상징이다.
서 목사는 “당시 항일운동을 이끈 한국인들의 민족정신 바탕에는 전킨, 드루 같은 선교사님들이 전한 기독교 정신, 복음이 깔려 있었다”고 힘주어 말했다.
군산 일대에는 이들 유적지 외에도 인근 섬 어청도, 장자도에 이르는 다양한 순례길 탐방 코스가 조성돼 있다. 이 순례길에 지금까지 1만명이 넘는 이들이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 목사에 따르면 오는 9월 군산선교역사관 개관과 맞물려 드루의 유해가 한국 땅을 밟을 예정이다. 드루의 손녀가 직접 유품 등과 함께 유해를 모시고 한국을 찾는다. 먼지가 돼서라도 한국 땅을 다시 찾겠다는 드루의 유언이 약 100년 만에 실현되는 셈이다.
이날 선교지 탐방 길에는 본격적인 장마의 시작을 알리며 온종일 비가 내렸다. 130여 년 전 한국 땅에 선교의 씨앗을 뿌린 드루가 단비를 만나 지금의 복음화를 꽃피운 한국교회를 직접 마주할 날이 머지않았다.
군산=글·사진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