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MICE 성장동력 ‘숙박’…시의회 반대로 미래 ‘발목’

입력 2025-06-20 12:03 수정 2025-06-20 12:05
킨텍스 s2 호텔부지. 고양시 제공

경기 고양시가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숙박시설 확충에 사활을 걸고 있지만 시의회의 반복된 반대로 전략의 핵심축이 흔들리고 있다.

시가 킨텍스 인근 S2 호텔부지를 매각해 800억원의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 재원을 마련하고, 동시에 극심한 숙박난 해소를 골자로 한 ‘호텔부지 공유재산관리계획’이 시의회 문턱에서 네 번째 좌절됐다.

시의회는 사업성 부족, 부지 용도 완화로 인한 모텔촌 전락 우려, 주변 호텔 신축계획, 공공성 훼손 등을 부결 사유로 들었으나, 시의회 내부에서는 “시와 시민을 위한 숙박 인프라 확충 계획이 네 번씩이나 좌절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킨텍스 주변 숙박시설은 현재 1248실로 부족하고, 내년 착공 예정인 앵커호텔(310실)까지 합쳐도 1558실에 불과하다. 반면 2032년 예상되는 숙박 수요는 4564실로, 3000실 가까운 객실이 부족하다.

서울 코엑스가 2900여 객실을 갖춘 9개 호텔로 행사 참가자 소비를 지역에 머물게 하는 것과 대조적으로, 킨텍스 방문객들은 숙박난 탓에 서울 등 외부로 빠져나가 지역경제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

이에 시는 호텔부지 용도 제한을 ‘관광호텔 70% 이상’에서 ‘관광호텔·가족호텔 60% 이상’으로 완화하고, 객실 수도 577실로 조정해 민간 투자 유인과 운영 유연성을 높이려 했다.

이러한 변화는 ‘킨텍스 운영 발전방안 연구’ 결과와 업계 요구를 반영한 조치였다. 하지만 시의회는 구체적 실행 계획 미흡과 공공성 훼손 우려 등을 이유로 또다시 호텔부지 공유재산관리계획을 부결시켰다.

이에 대해 한 시의원은 “매각 계획안이 구체적이지 않다. 부지가 모텔촌이 조성될 가능성도 있는데 이를 방지할 대책이 전혀 없이 무작정 매각을 추진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다”면서 “부지 활용 방안에 대한 구체성도 전혀 없고, 어느 업체가 들어올지, 어떤 수준의 숙박시설이 들어올지도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호텔부지 매각이 무산될 경우, 킨텍스 제3전시장 건립에 필요한 1000억원 중 800억원의 재원 확보가 불가능해진다. 이로 인해 전시장 건립이 지연되거나 시민 복지 예산이 전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K-컬처밸리, 경기영상밸리, 일산테크노밸리 등 시에서 진행되는 대형 프로젝트와 연계된 관광·산업·문화 복합 클러스터 조성 역시 차질이 불가피하다.

또 다른 한 시의원은 “일부에서는 시장의 치적을 없애기 위한 정치적 계산으로 네 번이나 의회가 부결했다는 말도 나온다”며 “고양시의 국제 마이스 도시 도약과 시민의 미래를 위해 당리당략을 넘어 의회가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시는 앞으로도 공유재산관리계획 통과를 위해 의회와 지속적으로 협의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호텔부지는 단순한 수익 창출이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와 숙박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전략적 자산”이라며 “의회와의 협의를 계속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고양=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