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국유건물 변신은 무죄’ … 전북도, 자활공간으로 탈바꿈

입력 2025-06-19 14:38 수정 2025-06-19 15:29
취약계층 자활사업장으로 변신 예정인 옛 남원 동충치안센터와 군산 흥남치안센터 건물. 전북특별자치도 제공.

전북특별자치도가 비어 있는 국유건물을 취약계층의 자립 기반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전국에서 처음 시작한 작업이다.

전북자치도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전북광역자활센터,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전북지부와 함께 ‘유휴 국유재산 자활사업장 활용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전북도는 올해 전주·익산·임실 등 5개 지역에 위치한 유휴 국유건물을 자활사업장으로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대상 건물은 전주 전주 금암1파출소, 익산 영등치안센터, 임실군선거관리위원회, 군산 흥남치안센터, 남원 동충치안센터로 쓰였던 5곳이다.

금암1파출소 건물에는 ‘청년자립도전사업단’이 입주한다. 1층에는 자활생산품 판매점을, 2층에는 디저트 개발과 케이터링 공간이 조성되고 있다.

익산 영등치안센터는 ‘다온팜스사업단’이 입주해 호두과자 판매와 도시락 제조를 진행한다. 임실군선거관리위원회는 문구·팬시 용품을 판매하는 ‘알파 임실점(늘해랑)’으로 활용된다.

이어 군산 흥남치안센터는 ‘카페보네 군산점’으로, 남원 동충치안센터는 ‘베이커리카페사업단’이 입주할 예정이다.

취약계층 자활사업장으로 변신 예정인 옛 임실군선거관리위원회와 익산 영등치안센터 건물. 전북특별자치도 제공.

이번 사업은 자활기업과 자활사업단에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운영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전북형 자활정책의 일환이다. 국유재산을 대부 받아 리모델링을 거쳐 취약계층의 일자리 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앞서 전북자치도는 지난해 12월 각 기관과 관련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캠코는 자산 제공과 함께 초기 정착을 위한 운영비를 1곳당 1000만원을 지원하고, 전북자치도는 재정적·행정적 지원을 한다.

전북광역자활센터는 해당 국유재산을 활용한 광역 단위 자활사업을 지원하고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전북지부는 사업 대상과 아이템을 발굴하는 역할을 맡는다.

리모델링 이후에는 기존 자활사업장을 지역 여건에 맞게 재구성해 각 사업장별로 특화된 자활모델로 운영할 예정이다. 다음달 중 익산과 임실에서 먼저 문을 열고 전주와 군산·남원에서 순차적으로 개소한다.

황철호 전북자치도 복지여성보건국장은 “이번 사업은 단순한 공간 활용을 넘어 공동체 회복의 공간으로 바꾸는 매우 상징적인 전환”이라며 “자활사업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물리적 공간 제공하여 전북형 자활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