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로 광주 시내버스 파업이 11일째를 맞은 가운데 시간이 흐를수록 시민도, 운송회사도, 노조도 지쳐가는 ‘소모전’ 양상이 빚어지고 있다.
광주 시내버스 노조는 8.2% 임금 인상을 주장하며 이날 오후 광주 서구 치평동 광주광역시청 앞 도로에서 가두행진을 벌였다. 가두행진에 참여한 수백여명의 노조원들은 각 연차별로 일당 20~30만원 상당을 포기하고 이날 파업에 동참했다. ‘무노동 무임금’ 원칙에 따라 파업에 참여한 근로자들은 임금을 받지 못 하기 때문이다.
30대 노조원 A씨는 “수일째 파업에 참여하면서 개인적으로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그래도 3% 인상은 너무하지 않느냐. 노조가 요구하고 있는 8.2% 인상안을 관철할 때까지 파업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생계 압박’을 받는 일부 노조원들은 파업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업무에 복귀하는 인원이 늘면서 지난 13일 619대이던 광주 시내버스 운행대수는 이날 787대까지 늘었다.
파업에 손해를 입고 있는 건 사측도 마찬가지다.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송수입 및 운송비용 정산지침’에 따라 파업으로 인한 미운행대수와 운행횟수에 대해선 광주시가 운송회사에 운송원가를 지급하지 않고 있어서다.
지난해 기준 대형버스 1대당 표준운송원가는 78만8484원 상당이다. 이중 운전원 인건비가 70% 상당을 차지하고, 나머지 30%는 관리직 인건비와 정비비, 감가상각비, 보험료 등의 고정비용이다. 파업 기간 운행하지 않는 버스의 고정비용은 온전히 사측이 부담해야 하는 셈이다.
광주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회사들도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노조에 먼저 파업을 철회하고, 구체적인 인상폭에 대해 논의하자고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광주 시내버스 노사가 이처럼 손해를 감수하며 맞붙고 있지만, 가장 큰 피해는 역시 시민들의 몫이다. 파업이 열흘째를 넘어서자 시민들의 인내심도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한 시민은 “학생들 등하교 하는데 들쭉날쭉한 버스 운행시간에 힘이 든다. 그렇다고 학교 전체적으로 등하교 시간 조정을 해주는 것도 아니다”면서 “택시비가 부담 된다. 지출이 너무 크다. 원만한 선에서의 합의와 그에 따른 서비스 개선으로 해결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같은날 오전 광주시가 긴급투입한 전세버스에 탑승해 시민들과 만난 강기정 광주시장은 “새벽 5시 30분부터 2시간 20분 동안 승객들을 만나고 버스 운행 상황을 살폈다”며 “현장에 가보니 버스 파업의 피해는 오롯이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어린 학생들과 서민들의 몫이었고, 파업은 누구에게도 득이 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어 “우선 노조 측은 지방노동위원회가 제시한 3% 인상안을 수용하고, 파업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파업 종료 후, 논의를 이어갈 협상 테이블을 구성해 버스요금 현실화 방안을 포함해 추가 임금 조정안을 논의하면 된다”고 재차 호소했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