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산업 관련 협단체들이 게임산업을 질병화하려는 성남시와 성남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재발방지에 대한 약속과 공개적인 사과를 촉구하는 공동 성명을 18일 발표했다.
이번 성명에는 한국게임산업협회와 게임문화재단, 게임인재단, 한국게임개발자협회, 한국게임법과정책학회, 한국게임정책학회, 한국인디게임협회, 한국e스포츠협회가 참여했다.
앞서 성남시는 이달 초 게임을 술·마약·도박과 같은 ‘4대 중독’ 물질로 규정한 공모전을 진행하려 했다가 업계의 반발로 취소했다. 이후 논란이 불거지자 성남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는 인터넷게임에서 게임만 뺀 인터넷으로 바꿔 다시 공지했다. 사과 등 별도의 입장 표명은 없었다.
게임산업 관련 협단체들은 이날 발표한 성명문을 통해 “게임산업은 대한민국 콘텐츠산업 수출의 핵심 분야로 2024년 전체 콘텐츠 수출액의 약 60%에 육박할 정도로 독보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성남시는 국내 게임산업 생태계의 중심지로 게임산업 종사자가 4만 4000여 명에 이르고 성남시 전체 콘텐츠 산업 수출액의 77%가 게임일 정도로 게임산업을 통해 고용과 수출을 동시에 견인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처럼 우리 게임산업은 미래 성장 동력이자 K-콘텐츠산업의 핵심으로서 국가 위상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지역 경제를 이끄는 핵심축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게임산업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흠집 내려는 시도들이 끊이지 않아 깊은 안타까움을 넘어 심히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면서 “특히 최근 성남시가 주최하고 성남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가 주관하는 ‘AI를 활용한 중독예방 콘텐츠 제작 공모전’에 알코올, 약물, 도박과 함께 인터넷 게임을 포함했다가 추후 인터넷으로 내용을 수정했는데 문구가 수정됐다고 해서 게임 인식에 대해 우려되는 상황이 불식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들은 “게임산업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를 비롯해 다양한 분야에서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행사를 진행하는 것은 게임을 질병으로 간주해 국민들에게 게임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뿐만 아니라 게임을 즐기는 수많은 이용자를 ‘환자’로 낙인찍고 게임산업에 종사하는 이들의 자존감마저 떨어뜨리는 행위다. 결국 이러한 시도들은 게임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게임산업과 게임이용자들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조장하는 모든 시도는 중단돼야 한다. 시대착오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주관한 성남시와 성남시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에 엄중히 항의한다”면서 ▲공모전 백지화 또는 인터넷 제외를 포함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조속히 진행할 것 ▲이번 사태에 관계된 최고위 책임자의 공식적인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 등을 요구했다.
윤민섭 기자 flam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