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등을 사천 우주항공청 인근으로 이전하는 법안이 발의되자 항우연 노조가 반발하면서 경남도의 우주항공산업 중심지 육성 전략에 제동이 걸릴지 우려되고 있다.
국민의힘 서천호(사천·남해·하동) 의원은 지난 17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천문연구원을 사천 우주항공청 인근으로 이전하는 내용을 담은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국내 우주항공 기능을 통합하고 기관 간 시너지 효과로 효율적인 사업 추진과 글로벌 우주 경제 시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한 입법이라고 서 의원 측은 설명했다.
우주항공청이 들어선 경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우주항공 분야 연구개발과 산업 기능을 연계 추진하자는 의미다.
문제는 전국과학기술노조 산하 우주항공 기관 노조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는 점이다. 실제 항우연 노조는 이날 성명을 통해 우주항공 관련기관의 사천 이전 추진은 ‘지역 이기주의’라고 규정했다.
항우연 노조는 “지역이기주의로 뭉친, 비상식적인 ‘우주항공청 설치·운영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을 즉각 폐기하라”고 요구했다.
노조는 “우주청으로 오가는 데 걸리는 시간도 문제지만 5급 선임연구원을 채용하는 데 지원자 대부분이 대학을 갓 졸업했거나 정년퇴직을 앞둔 사람들일 정도로 전문가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사천의 입지조건이 고급인력을 유치하는데 한계가 있어 우주청 경쟁력을 약화시킨다는 논리다.
이어 “미국 항공우주국(NASA) 본부는 워싱턴에 있고 러시아의 로스코스모스는 모스크바에, 중국 항천공사는 베이징에,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도 도쿄 바로 옆 위성도시에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프랑스 4위 규모 도시 툴루즈 모델 주장에 대해서도 “인천·대구·대전 규모의 도시에 비교할 수는 있어도 사천에 비유하는 것은 국민을 기만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사천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우주항공 복합도시를 건설하고 관련 연구개발과 산업 기능을 갖출 필요성을 반영해 입법했다”고 설명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