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을 사칭해 대금 결제를 요구하거나 물건 납품을 요구하는 사기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부산경찰청은 최근 공무원 사칭 범죄에 대해 부산시가 수사를 의뢰했다고 17일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시는 최근 ‘김지수’라는 이름의 공무원 신분을 확인하려는 민원 전화를 받았다. 민원인은 부산 사상구에서 가구판매업을 하는 A씨였다. A씨는 최근 김지수라는 사람으로부터 제세동기 대리 구매 요청을 받고 2400만원을 송금하는 피해를 입었다.
자신을 김지수라고 소개한 이는 A씨에게 연락해 사무용 가구를 구매하려고 한다며 만날 약속을 잡았고, 약속 당일 오전 A씨에게 다시 연락해 ‘사무 가구 외에 제세동기도 필요한데 제세동기를 대신해서 구매해주면 돈을 주겠다’며 대금 이체를 유도했다.
A씨는 ‘부산시 공무원 김지수’라고 적힌 명함을 사진으로 전송받았던 터라 그 말을 믿고 돈을 보냈으나 이후 연락이 끊겼다. 해당 공무원은 부산시에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었다. A씨는 뒤늦게 사기 피해를 알고 경찰서에 신고했다.
수영구와 강서구 등 부산의 다른 지역에서도 공무원 사칭 범죄와 관련된 신고는 이어지고 있다.
이달 초 수영구의 한 음식점에서는 공무원을 사칭해 관내 음식점 7곳에 대규모 회식 예약을 하고 가짜 와인 업체 번호를 주며 특정 와인을 주문해 놓으라는 식의 대금 결제를 유도하는 사기 사건이 있었다. 다행히 음식점 주인은 구청에 확인 전화를 건 덕분에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수영구는 공무원을 사칭하는 범죄를 주의하라는 내용의 안전재난문자까지 발송했다.
충북에서도 공무원 사칭 범죄는 잇따르고 있다. 보은군에 따르면 지난 16일 보은읍의 한 가구매장에는 가구를 주문하는 전화가 걸려 왔다. 발신자는 자신을 ‘보은군 소속 김현성 주무관’이라고 소개했다. 그는 문자메시지로 보은군 상징 마크와 연락처 등이 들어간 명함을 보냈다. 비슷한 시간 인근 커튼 매장에서도 동일범으로부터 납품 요구가 있었다.
가구점 주인은 “10여일 전에도 면사무소 직원을 사칭한 비슷한 형태의 전화가 왔다”며 “통장 사본부터 요구하는 게 미심쩍어 군청에 확인하니 가상의 인물이었다”고 말했다.
앞서 이달 초 충주에서는 시청 공무원 2명의 이름을 도용해 자동문이나 유리문 등의 납품을 요구하는 사건이 있었으며, 옥천에서는 군청 산림과 직원을 사칭한 살충제 납품 요구가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명함 등을 보여주며 특수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이 있으면 반드시 해당 기관에 연락해 확인하는 등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명오 기자 myung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