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의정부시는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도입 1년 만에 정시성 확보와 민원 감소 등 가시적인 성과를 내며 시민 교통 편의와 대중교통 공공성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16일 밝혔다.
시는 지난해부터 시내버스 운영 방식을 전면 혁신, 공공이 책임지고 민간이 함께 운영하는 체계를 도입해 시민이 체감하는 교통서비스 개선을 이끌고 있다.
시는 지난해 11개 노선, 118대의 시내버스를 공공관리제로 전환한 결과, 공공관리제 전환율은 52.6%로 경기도 내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전환 노선의 정시성은 98% 이상으로 안정화됐으며, 배차 관련 민원도 62% 감소하는 등 시민 만족도가 크게 높아졌다. 시는 2027년까지 24개 노선 전체를 공공관리제로 전환한다는 목표다.
공공관리제 도입은 운수종사자 처우 개선에도 기여하고 있다. 서울에 비해 열악했던 보수 수준을 높이고, 안정적인 운행 시간 관리를 통해 이직률을 줄여 신규 인력의 정착을 돕고 있다. 시는 앞으로 2교대 인력 기반의 체계를 확립해 근로 여건을 더욱 개선할 계획이다.
올해는 1-7번(9대), 57-1번(5대) 등 시민 통행 수요가 많은 노선을 추가로 공공관리제로 전환한다. 특히 57-1번 노선은 서울 수락산역까지 연장 운행이 확정돼, 2025년 7월부터 서울과의 접근성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다. 이는 시민들의 오랜 요구를 반영한 결과로, 광역교통 연계 강화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공공관리제 확대에 따른 시의 재정 부담도 커지고 있다. 올해만 약 13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됐으며, 도비 30%·시비 70%의 분담 구조는 시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시는 도비 분담률을 50%로 상향해 줄 것을 여러 지자체들과 경기도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동시에 노선 효율화와 구조 개선을 위한 ‘버스체계 개편 용역’도 추진 중이다.
시는 데이터 기반 교통행정 고도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정류장별 승하차 패턴, 노선별 혼잡도 등 교통 데이터를 분석해 노선 조정과 증차·감차 등 운영 의사 결정에 체계적으로 반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예산의 전략적 배분과 서비스 품질 향상도 기대된다.
김동근 시장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교통 서비스는 결국 공공의 책임에서 출발한다”며 “공공관리제 확대와 더불어 데이터 기반의 버스 정책, 이용자 중심의 노선 개편 등을 통해 시민 중심의 버스행정을 구현해 시민 불편을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