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요양보호사 인력난 해소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과 연계한 인력 양성 모델을 도입한다. 전문 교육을 이수한 유학생은 지역 요양시설과의 연계를 통해 취업 기회를 얻고, 지역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된다.
부산시는 법무부, 보건복지부와 협력해 외국인 유학생을 요양보호사로 양성하는 ‘외국인 요양보호사 양성대학’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급속한 고령화와 요양보호 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으로, 유학생에게 요양보호사 교육과정 이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의료·복지기관과 연계해 현장 인력으로 활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양성대학으로 선정되면 유학생은 24학점제 기준 320시간 이상의 요양보호사 교육과정을 이수하게 되며, 현장 실습과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활동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된다.
시는 유학생 대상 교육과정을 운영할 역량과 지역 의료·복지기관과의 연계 가능성을 갖춘 지역 대학을 대상으로 다음 달 16일까지 참여 신청을 받는다. 단, ‘컨설팅대학·비자정밀심사대학’과 ‘기관평가 미인증 대학’은 신청할 수 없다.
후보 대학은 대학 경쟁력, 사업 운영 역량, 교육과정, 유학생 관리, 지역 연계 등 총 5개 항목의 평가를 거쳐 상위 2개 대학이 법무부에 추천된다. 최종 양성대학은 법무부 주관 민관합동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8월 선정될 예정이다.
김귀옥 시 청년산학국장은 “요양보호사 인력난이 심각한 상황에서 외국인 유학생을 새로운 인력 자원으로 연계하는 모델이 될 것”이라며 “교육 역량과 현장 연계 기반을 갖춘 대학을 중심으로 실질적인 인력 양성 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