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전당 맞나” 부실전시에 극우 운영위원 위촉도 논란

입력 2025-06-15 13:30 수정 2025-06-15 17:00
창원시 마산합포구 바닷가 김주열 열사 시신인양지 부근에 건립된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 지난 10일 임시개관했다. 창원시

3·15의거와 부마민주항쟁으로 ‘민주성지’를 자처하는 창원시가 ‘대한민국민주주의전당’(이하 전당)을 건립해 문을 열었지만 ‘반민주’ 시비에 휩싸였다.

전당 전시 구성이 부실하고 독선적 운영행태를 보인데다 운영위원 구성에 극우인물들을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창원시는 10여년 전부터 김주열 열사 시신 인양지 부근인 마산합포구 바닷가에 전당 설립을 추진해 지난 10일 임시개관을 했다.

하지만 현장을 관람한 시민들은 민주주의의 역사가 한눈에 와닿는 구성이 아니라며 전시구성의 수정과 내용 보충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박현수(창원시)씨는 “아이들과 관람했지만 우리 민주화 운동이 어디서 어떻게 발생했고, 민주주의가 어떻게 성장했는지 쉽게 와닿지 않았다”며 “오랜 시간 개관을 준비했고 전담팀까지 있는 것으로 아는데 결과적으로 상당히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이어 “관람 후기를 쓰고 싶었지만 전당 누리집에 글을 쓸 수 있는 자유게시판 등의 공간이 없었다”며 “민주주의전당이 민주적이지 못하고 오히려 독선적으로 운영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전당 건립추진위원을 지낸 류조환 민주항쟁정신계승 시민단체 연대회 상임대표는 “전당이 민주주의 전체를 아우르지 못한다는 의견이 많았다”며 “하지만 보완을 요구하면 창원시는 추가 예산이 없다거나 시설 공사 업체와 계약이 종료됐다는 식의 입장을 보였다”고 꼬집기도 했다.

전당 운영자문위원회도 말썽이다. 위원 다수가 비상계엄을 옹호하거나 국가적 참사와 관련해 극우적 발언을 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지난 13일 오후 예정됐던 운영자문위 위촉식이 취소됐다.

운영위원 김미나 창원시의원은 2022년 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이태원 참사 희생자 등을 원색 비하했고, 2023년 시의회 본회의에서 민주화 유적지를 언급하며 “여러 군데 영령을 기리는 곳이 있으면 도시 전체가 무겁고 어두워진다”고 발언해 뭇매를 맞은바 있다.

창원시는 “지적사항 중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수용해 정식 개관전까지 보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