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위기 돌파구 찾기 대구시-대학 머리 맞댄다

입력 2025-06-12 11:09 수정 2025-06-12 13:51
대구시청 산격청사 모습.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지방대 위기 돌파구를 지역 대학들과 함께 찾는다. 대학 육성과 인재 배출, 지역 정착이라는 선순환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는 대구지역 대학들과의 협력 강화와 상생 전략 마련을 위해 ‘지역과 대학의 상생발전전략 수립 정책연구’에 착수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정책연구는 인구·산업구조 급변화에 따른 지역과 대학의 위기를 극복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한다. 경쟁력 있는 대학을 육성해 능력 있는 인재들을 양성하고 우수한 인재들을 지역에 정주시켜 지역기업의 경쟁력도 높이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방안을 찾는 것이 목표다. 경북대, 계명대, 대구교대, 계명문화대, 대구공업대, 대구과학대, 대구보건대, 수성대, 영남이공대, 영진전문대 등 대구지역 대학들도 힘을 보탤 예정이다. 착수보고회도 지난 11일 열었다.

지역과 지역대학의 위기 원인, 지속 가능한 대학·지역을 위한 요건과 연구사례, 지역과 대학 간 협력사업, 지역·대학 상생발전전략과 실천과제 등의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 연구는 6개월 정도 진행된다. 중간보고회와 최종보고회를 거쳐 상생발전 목표와 비전 체계를 수립하고 구체적인 실행 전략도 도출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지난해 전국 시·도 가운데 처음으로 대학정책국을 신설해 지역대학 육성정책과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 등을 추진 중이다. 글로컬대학 육성, 도심 캠퍼스 타운 조성, 산·학·연 협력을 통한 인재 양성과 지역 대학 유학생 공동 유치 등도 추진 중이다. 지역 대학들과 반도체 분야 인재 육성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인접한 경북도와도 지역대학 경쟁력을 높이는 다양한 사업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지역 혁신 성장의 핵심은 지역 인재를 스스로 키우고 활용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라며 “이번 연구가 지역 산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력을 대학 자체 시스템을 통해 공급하는 혁신인재 수요공급 체계 구축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