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범에 속아 모텔에서 ‘셀프 감금’을 하던 20대 여성이 경찰의 도움으로 피해를 면했다.
11일 대전동부경찰서에 따르면 지난달 2일 오후 12시42분쯤 대전 용전지구대에 “여자친구가 어제 아침부터 금융감독원·경찰이라 주장하는 사람과 통화하는 것 같다. 같은 날 오후 3시부터 모텔에 들어가 나오지 않고 있는데 보이스피싱이 의심된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곧바로 해당 모텔로 출동한 경찰은 신고 대상자인 20대 여성 A씨와 만나 대화를 하다가 피싱범의 지령사항으로 보이는 메모를 발견했다.
경찰은 A씨의 휴대전화에 악성앱이 설치돼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려고 했지만, 그는 “무슨 권한으로 이러느냐. 휴대전화에 악성앱이 없으면 어떡할 거냐”고 말하며 의심의 눈초리를 거두지 않았다.
경찰의 끈질긴 설득 끝에 마음을 열기 시작한 A씨는 이윽고 피싱범이 보낸 가짜 서류를 보여주며 휴대전화를 건넸다. 휴대전화에는 악성앱이 3개나 탐지됐다. 하지만 A씨는 “금융감독원에 가면 김민형 과장이 만나준다고 했다”고 주장하며 경찰을 계속해서 의심했다.
경찰은 A씨가 받은 서류를 대검찰청 보이스피싱 감별 콜센터인 ‘찐센터’로 보내 해당 서류가 가짜라는 답변을 받아냈다.
조사 결과 피싱범들은 A씨에게 “검찰이 수사 중인 특수 사기 사건에서 당신의 통장계좌가 발견됐다”며 “범죄와 관련됐을 가능성이 있으니 혼자 있을 수 있는 곳에 서 대기하라. 지시에 따르지 않으면 바로 구속하겠다”고 협박했다고 한다.
모텔로 들어간 A씨는 피싱범들의 지시에 따라 스마트폰 공기계를 구입한 뒤 자신의 스마트폰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앱을 다운받아 실행했다. 다행히 범행이 성공하기 직전 40여분에 걸친 경찰의 적극적인 설득으로 피해를 면할 수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최근 모텔같은 공간에 피해자를 고립시킨 뒤 가스라이팅을 해 경찰을 의심케 하고, 수사관과의 연락을 핑계로 새로 휴대전화를 개통시켜 개인정보와 악성코드를 기존 휴대전화로 이전시키는 수법이 성행하고 있다”며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면 일단 전화를 끊고 가까운 경찰관서에 확인하거나 대검찰청 찐센터로 서류를 보내 진위여부를 확인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