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가 보행 중심도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시민이 참여하는 ‘걷고 싶은 길’ 리빙 랩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광주시는 ‘2025년 걷고 싶은 길’ 리빙 랩 사업 공모에 광주에코바이크와 송정1동, 운암3동, 일곡동, 화정1동 주민자치회 등 총 5개 단체를 선정하고,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시는 공모에 선정된 5곳에 대해 각각 12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하고 광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통해 컨설팅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광주시와 광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가 함께 기획 의도를 공유하고 실천하는 프로그램으로, 시민의 생활 속 문제를 주민 스스로 진단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리빙 랩’ 방식으로 운영된다.
광주에코바이크는 ‘안전한 통학로 조성을 위한 보행&자전거 BUS’를 주제로, 어린이들이 친구들과 함께 걸어 등·하교할 수 있도록 보행로 및 자전거 버스를 지역사회가 함께 운영할 계획이다.
또 동 주민자치회들은 ‘누구나 걷고, 누구에게나 안전한 길 조성’과 ‘우리가 만드는 안전한 길’ 등을 주제로 차 없는 거리 조성, 지역 내 초·중학교 주변의 통학로 문제 해결에 나선다.
광주시는 이번 사업을 통해 시민이 주도하는 보행 중심도시 전환의 기반을 마련하고, 생활 속 실천 사례를 축적해 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의 이른바 ‘대자보 도시 조성사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자동차 중심의 구조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실천이 도시의 미래를 바꾸는 출발점이다. 시민과 함께 지속 가능한 광주의 길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