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롯데백화점이 폐점 1년이 지나며 지역 상권 붕괴의 주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이를 공적으로 활용하자는 움직임이 잇따르면서 성사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마산 롯데백화점은 지상 20층 규모 대형 쇼핑시설로 한때 지역 상권의 핵심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6월 문을 닫으면서 주변 식당 등의 매출이 반토막나고 인근 전통시장 손님까지 줄어드는 부작용을 낳았다.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은 공공기관 이전 등 창원시와 경남도 차원의 대책을 주문했다.
창원시는 롯데백화점 폐점 이후 도심 공동화 우려가 커지자 이 건물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TF를 구성하고 지난달 22일 현장점검을 했다. 시 경제일자리국장을 단장으로 한 TF에는 시 지역경제과, 도시재생과, 평생교육과, 공유재산경영과 등 관련 부서와 창원시정연구원이 참여했다.
이어 같은달 29일 경남도가 창원시 TF에 합류한다는 방침을 밝히고 시-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도의 TF 참여로 국비 확보 등 정부와 국회에 공동 대응하면 돌파구를 찾기가 한결 수월할 것이라는 기대가 모였다.
분위기가 무르익자 경남교육청도 힘을 보태고 나섰다. 이 건물을 경남 교육시설로 활용 가능한지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이다.
실제 박종훈 경남도교육감은 10일 롯데백화점 마산점을 방문해 교육시설로 활용 가능한지 현장 점검에 나섰다.
박 교육감은 “교직원 연수 시설이나 동아리 활동공간이 어떨까 생각해 본 적이 있다”면서도 “폐점 전까지 이 백화점에 한번도 와본 적이 없기 때문에 이번에 직접 시설을 보러왔을 뿐 아직 정해진 방향은 없다”고 말했다.
풀어야할 문제도 만만치 않다. 이 백화점은 연면적이 약 9만7000㎡로 일반 학교 7개 혹은 도교육청의 미래교육원 4개에 해당하는 대단위 시설인데다 인수에 드는 비용도 1000억원을 웃돌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창원시와 경남도는 TF를 통해 적합한 활용방안 및 정부지원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경남교육청 등 지역 기관들과도 협업하면서 돌파구를 찾을 방침이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