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의원들이산불 대응체계 개편과 신속한 피해 복구를 촉구했다.
최태림 경북도의원은 10일 열린 제356회 도의회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산불 대응체계의 전면 개편을 촉구했다.
최 의원은 “지난 3월 산불 초기 3일 동안 의성에 머물렀던 불길을 빠르게 진화했다면 이후 확산은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산림청의 산불 예측 시스템 미가동, 산불 초기진화 미흡 등이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또 “도내 문화유산 중에는 설계 도면이 일부만 있거나 전혀 없는 곳도 있어 산불 또는 화재로 소실될 경우 복구조차 어려운 실정”이라며 “전체 설계 도면을 보유한 곳은 도내 전통 사찰의 경우 172개 중 40곳, 서원은 196개 중 56곳에 그친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소상공인, 농어민 등 산불 피해 주민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늦어지고 있는 만큼 특별법 신속 제정 등 산불 피해지역 복구 지원을 앞당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경북은 2023년 기준 산사태 발생과 취약지역 모두 전국 1위로 산불 피해지역의 지반이 약해 장마철 추가 재난이 우려된다”며 선제적 방재 대책 수립을 요구했다.
최 의원은 이와 별도로 대구·경북 신공항 화물터미널과 항공 정비단지, 배후 물류단지 조성에 관한 협의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주문했다.
권광택 경북도의원은 도정질문에서 산불 피해에 대한 빠른 복구와 재건을 위해 추가적인 국비 지원, 주택 복구 지원금 현실화, 산불 특별법 제정을 통한 재정지원 사각지대 해소, 산불 피해 재발 방지를 위한 산림 인접 지역 벌채 규정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의원은 지역 균형발전과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방안으로 육군사관학교 안동 이전도 제안했다.
권 의원은 또 “안동은 석주 이상룡 선생의 출생지이자 신흥무관학교 정신의 뿌리가 살아있는 역사적 중심지”라며 “사관학교 안동 이전은 단순한 기관 이전이 아닌 역사의 복원이며 미래를 여는 국가 전략”이라고 주장했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