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 “이재명 대통령 만나달라”

입력 2025-06-10 15:44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23일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 국내선 청사 앞에서 사고 진상 규명과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하는 기자회견 도중 오열하고 있다. 연합뉴스

179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이 이재명 대통령에게 면담을 요청했다. 유가족들은 이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를 통해 “대통령이 나서줄 때”라며,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 협회는 10일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내는 편지’ 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내고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이 이재명 대통령 면담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유가족들은 이 대통령에게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 당선을 진심으로 축하드린다. 어두운 광장을 환하게 밝히던 그 날, 불의에 맞서고, 불평등에 저항하며 어둠을 몰아냈던 것은 ‘시민의 힘’이었다”며 “이제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한다.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들은 다시 희망을 보고싶다. 이제 대통령님이 나서줄 때”라고 밝혔다.

특히 유가족들은 이 대통령에게 참사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했다.

유가족들은 “대체 왜 179명은 세상을 떠나야 했을까”라며 “국내 항공기 역사상 가장 큰 인명 피해를 낸 사건이지만 제대로 된 진상규명도, 책임자 처벌도 없이 잊히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어 “철새 도래지인 외딴 습지 보호구역에 만들어진 무안공항은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으며, ‘조류 충돌 우려’를 논의하는 회의에도 제주항공은 참석하지 않았다”면서 “사고 당시 새를 쫓는 관리자는 공항공사의 직원 단 한 명이었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유가족들은 “탄핵과 국내외 정치적 상황에 가려져 저희는 점점 잊혀가고 있으며, 무안공항에서 일어난 항공 참사라는 특수성 때문에 광주·전남 지역에서조차 제대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며 “참사 넉 달 만에 특별법이 만들어졌다고 하지만, 진상규명이 빠진 특별법은 유가족에게 반갑지 않다. 아시다시피 국토부 산하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의 조사 결과만 믿고 기다릴 수 없다. 그렇기에 우리 유가족은 진상규명이 이뤄질 때까지 폐쇄된 무안국제공항을 떠나지 못한다. 아니, 떠날 수 없다”고 토로했다.

앞서 지난달 13일 유가족들은 “참사 4개월이 지나도록 수사에 진전이 없다”며 국토부와 제주항공, 서울·부산항공청, 한국공항공사, 무안공항 소속 관계자 등 15명을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업무상과실치사상 혐의로 직접 고소하기도 했다.

한편, 태국 방콕에서 출발한 제주항공 7C2216편은 지난해 12월 29일 오전 9시 3분쯤 무안국제공항에 동체착륙을 시도하다 콘크리트 둔덕 형태 로컬라이저와 충돌해 폭발했다. 이 사고로 여객기 탑승자 181명 중 179명이 숨졌다.

광주=이은창 기자 eun526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