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폐기물의 대부분을 처리하는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 환경자원순환센터에 쓰레기 반입이 제한되고 있다.
9일 제주도 등에 따르면 폐열 활용사업을 둘러싼 제주도와 동복리 마을 간 입장 차로 7일부터 주민들이 센터 진입로를 봉쇄하고 있다. 쓰레기 수거 차량 출입이 중단되면서 수거 차량과 도민들의 1차 쓰레기 배출장인 클린하우스에 처리되지 못한 쓰레기가 일부 쌓이고 있다.
현재 재활용품은 기존처럼 동복리 환경자원순환센터 내 생활자원회수센터에서 정상 처리되고 있다.
문제는 종량제 봉투를 통해 버리는 가연성 폐기물이다. 제주시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폐기물은 도내에서 처리할 곳이 없어 이날부터 민간업체를 통해 도외로 반출 처리하고 있다. 서귀포 지역에서 발생한 가연성 폐기물은 서귀포시 관내 색달동 광역소각시설에서 임시 처리하기로 했다.
공공폐기물과 달리 호텔과 같은 민간 대형시설에서 발생하는 사업장 폐기물은 처리할 곳을 찾지 못해 해당 시설에 계속 적치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9일 브리핑에서 “민간업체에서 항의 전화가 빗발치고 있다”며 “공공시설과 달리 민간 업체는 대응에 한계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태의 배경에는 폐열 활용사업을 둘러싼 제주도와 동복리 간 입장 차이가 있다.
도에 따르면 폐열 활용 사업안은 지난 2015년 동복리가 제주시에 제안해 검토가 시작됐다. 2020년 타당성 검토 용역 결과 타당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지난해 동복리가 폐열 활용사업 가능 여부 검토를 다시 요청해왔다. 검토 결과 현재 환경자원순환센터에서 폐기물을 소각할 때 발생하는 폐열은 주민지원시설로 건립한 사우나 등 ‘해돋이 힐링센터’로 공급돼 사용가능한 폐열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복리는 폐열 활용사업을 논의하던 2018년 당시 제주도가 관련 사업에 타당성이 부족하다고 나타날 경우 그에 상응하는 사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도는 관련 공문서와 회의록 등을 확인한 결과 이 같은 약속을 한 적이 없다고 맞서고 있다.
김병수 동복리장은 9일 통화에서 “2018년 협의 당시 녹취 파일을 가지고 있다”며 “오영훈 제주지사가 마을을 방문하면 공개해 추진 확답을 받고 싶다”고 말했다. 동복리는 이날 저녁 임원 회의를 열어 향후 집회 일정을 확정하는 한편, 당분간 쓰레기 수거 차량 진입을 계속 제한하겠다는 입장이다.
강애숙 제주도 기후환경국장은 “제주도는 협약서에 명시된 주민지원사업과 별도의 사업이라도 법령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는 지원할 생각이 있다”며 “마을 측과 계속해 논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