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제청,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지정 마무리 단계 진입

입력 2025-06-09 13:03 수정 2025-06-10 11:04
경제자유구역 지정 신청 예정인 강화남단 위치도. 인천경제청 제공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강화남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행정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진입했다고 9일 밝혔다.

인천경제청은 오는 23일까지 개발계획 공람을 통해 주민 의견을 수렴하고, 16일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사전 자문을 통해 전문가 의견을 최종 청취한다. 이어 계획을 보완하고 산자부에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신규 지정 신청서를 이달 말까지 제출할 예정이다. 지정 절차가 계획대로 이뤄지면 정부는 올해 하반기 중 개발계획 승인과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고시할 수 있다.

강화군 화도·길상면 일대 6.32㎢의 강화남단은 인천국제공항과 인접한 공항경제권이다. 송도·영종·청라국제도시로 이어지는 기존 인천경제자유구역(IFEZ)과 연계 가능한 전략적 입지로 평가받고 있다. 풍부한 문화유산과 서해바다를 품은 자연환경 등 문화관광 경쟁력도 지녔다.

이에 인천경제청은 강화남단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받은 뒤 첨단산업과 인공지능(AI) 기반의 지속가능 도시, 역사·문화·자연이 어우러진 K-문화 도시, 친환경 정주형 미래도시 등 글로벌 미래산업 거점으로 조성·개발할 계획이다. 총 사업비는 약 3조2000억원으로 추정된다.

첨단산업과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바이오 대전환 전략에 맞춰 레드(의료·제약)·그린(농생명·식품)·블루(해양)·화이트(에너지·환경) 바이오를 아우르는 통합형 K-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지역 내 한방자원과 연계한 기능성 의약품 개발, 의약 소재 연구, 임상시험 네트워크 구축 등 바이오헬스 산업을 집중 육성할 방침이다. 풍부한 농특산물과 연계한 기능성 식품, 화훼 단지, 유전자 기반 작물 연구개발 등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인천경제청은 스마트 팩토리, 로봇, AI, 모빌리티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제조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자연·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체험형 관광 콘텐츠와 숙박·레저 시설을 결합해 관광 수요를 창출하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다.

윤원석 인천경제청장은 “강화남단 경제자유구역 확대는 인천의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핵심”이라며 “강화남단을 첨단산업과 글로벌 관광의 거점으로 만들어 국가정책의 중심지로 도약시키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