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관계자는 9일 “지난 6월 5일자로 1차 소환 요구를 했으나 불응했다”며 “지난주 목요일(5일) 2차 소환요구를 했다”고 말했다. 이어 “다시 12일자로 소환요구를 했다"고 덧붙였다.
윤 전 대통령에게 적용된 혐의는 특수공무집행 방해 혐의와 대통령경호법 위반 교사 혐의다. 경찰청 관계자는 “지난해 12월 7일자 사령관 3명에 대해 비화폰 내역을 삭제 지시한 것으로 돼 있어 추가 입건했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 측은 불응 이유를 밝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청 관계자는 “변호사를 통해 얘기 들은 것으로 알고 있다”며 출석이 어렵다고 전달받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다만 체포영장 검토 여부는 미정이다. 수사기관은 통상 3차례 소환조사에 불응할 경우 영장을 청구해 신병을 확보해 왔다. 경찰청 관계자는 “아직 2차 소환요구밖에 안 한 상황"이라며 체포영장 신청 여부는 알 수 없다고 했다.
한편 한덕수 전 국무총리,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외에도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김영호 통일부 장관 등 국무위원 2명이 지난달 30일 내란 혐의에 대해 경찰 조사를 받았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