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제3차 노동정책 기본계획’(2025∼2027) 수립을 위한 토론회를 5일 서울창업허브 공덕에서 개최했다.
6일 서울시에 따르면 토론회는 시의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각계 의견을 수렴하고, 향후 정책 추진의 사회적 공감대를 마련하기 위해 열렸다.
토론회에는 이승길 전 아주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좌장으로 노동·경영계 전문가 및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플랫폼·프리랜서 노동자 보호, 감정노동자 괴롭힘 예방 교육 확대, 가사노동자 및 중장년층 전직 지원, 취약노동자 지원 인프라 확충 등 다양한 정책과제가 논의됐다.
토론자들은 정책 효과 극대화를 위해 핵심사업 중심의 정책 우선순위 조정과 예산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노동계는 지방정부가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공공성과 실효성을 함께 담보할 수 있는 정책 설계 또한 주문했다.
시는 토론회에서 논의된 의견을 종합해 제3차 기본계획을 확정, 발표할 예정이다.
제3차 노동정책 기본계획에는 ‘일하는 사람과 동행하는 상생복지 실현’을 비전으로 노동 사각지대 해소, 안전하고 건강한 노동환경 조성, 노동복지서비스 내실화 등의 내용이 담긴다.
송호재 시 민생노동국장은 “3차 노동정책 기본계획에는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환경 속 취약 노동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정책을 담는 것이 목표”라며 “노동의 고귀한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위해 체감도 있는 계획을 마련하고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동성 기자 the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