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가오는 여름철 폭염에 대비해 독거노인, 노숙인, 장애인 등 취약계층 보호 대책을 내놨다. 경로당과 사회복지시설에 냉방비를 지원하고, 폭염에 대비한 맞춤형 지원도 강화한다.
보건복지부는 5일 이재명 대통령이 주재한 ‘안전치안점검회의’에서 ‘2025년 여름철 취약계층 보호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우선 무더위에 취약한 노인을 위해 냉방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7~8월 폭염 기간에는 전국 경로당 6만9000여곳에 냉방비 월 16만5000원을 지원한다. 사회복지지설에는 규모별로 10만원~50만원을 지원한다.
주거취약가구, 독거노인 등 4만명을 발굴하는 작업도 진행한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전화와 복지위기 알림 앱을 활용하고, 전국 지자체의 보건복지전담팀이 직접 찾아가 상담을 제공하고 사례 관리도 연계하기로 했다.
폭염 특보가 발령되면 노인맞춤돌봄서비스를 받는 노인 약 55만명에게 유선 및 방문을 통해 건강 상태를 확인하기로 했다. 또 응급안전안심서비스를 이용하는 27만 가구를 대상으로 정보통신기술(ICT) 기술을 활용한 응급 상황 확인에 나선다.
전국 경로당에 제공하는 식사는 주 3.5일에서 주 5일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양곡비로 지난해보다 63억원 늘어난 186억을 쓰고, 급식 지원을 돕는 노인일자리도 6만4000명으로 지난해보다 2만명 늘리기로 했다. 폭염·폭우 피해가 우려되는 노숙인·쪽방 주민을 위한 ‘무더위 쉼터·응급잠자리·냉방용품 등도 확보한다. 결식 우려가 있는 아동에겐 여름 방학 중에도 급식을 제공하기로 했다.
이스란 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은 “올해도 폭염에 취약한 복지위기가구를 촘촘하게 보호하고, 풍수해·태풍 등 여름철 재난에 대비하여 빈틈없는 시설 안전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정헌 기자 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