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보훈보상대상자로 등록된 순직자 가운데 20대 청년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 복무나 소방·경찰 등 공공 임무 수행 중 사망한 이들 다수는 복무 초기나 임무 시작 단계에 사고를 당한 것으로 파악돼, 제도적 보호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대식 의원(국민의힘·부산 사상구)은 5일 국가보훈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국가유공자 및 보훈보상대상자 등록 현황’을 분석해 이 같은 내용을 공개했다.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국가에 헌신하다 사망해 보훈대상자로 등록된 인원은 총 1410명이다.
이 가운데 ▲재해사망군경 1115명(79.1%) ▲순직군경 193명(13.7%) ▲재해사망공무원 93명(6.6%)으로, 등록자 10명 중 8~9명이 군인·경찰·소방 등 공공직에 복무하며 임무를 수행하다 사고로 목숨을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군별로는 순직군경 193명 중 군인이 134명(69.4%)으로 가장 많았고, 소방공무원 26명(13.5%), 경찰 20명(10.4%)이 뒤를 이었다. 평시에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직무에서 희생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연령대별로는 20대가 1083명(76.8%)으로 가장 많았고, 30대 124명(8.8%), 40대 86명(6.1%) 순이었다. 특히 20대 희생자 대부분이 복무 초기 또는 사회 초년기에 해당하는 점에서 사고 예방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이 크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김 의원은 “국가를 위해 헌신한 분들의 희생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지탱하고 있다”며 “그 명예와 삶에 끝까지 책임지는 것이 국가의 기본 책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충일은 과거를 기리는 날이자, 남겨진 가족에게 국가가 응답하는 날이 되어야 한다”며 “젊은 생명을 지키기 위한 사전적 안전관리와 대응체계 마련, 유족의 존엄한 삶을 위한 실질적 보훈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