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새 정부 국정과제화 정조준… 전략기획단 가동

입력 2025-06-05 11:51

부산시가 제21대 대통령 공약의 국정과제화를 위한 본격 대응에 나섰다.

부산시는 5일 시청 영상회의실에서 ‘대통령 부산공약 국정과제화 보고회’를 열고, 후속 대응 전략과 세부 실행계획 수립에 착수했다.

이날 회의는 박형준 부산시장 주재로 실·국·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선거 결과와 정책 조율 상황, 각 실·국별 전략 방안 등을 공유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박 시장은 먼저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을 320만 부산시민과 함께 축하한다”며 “새 정부가 국민 통합과 국가 대전환을 끌어내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박 시장은 “수도권 일극 체제를 넘어서는 국가 발전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며 “부산이 중심이 되어 균형발전의 실질적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산 공약은 단순한 지역개발을 넘어 국가 균형발전 전략의 핵심축”이라며 “산업은행 본사 이전,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제정은 정권과 관계없이 반드시 추진돼야 할 과제”라고 밝혔다.

부산시는 지난 4월 대선을 앞두고 ‘트라이포트 기반 교통망 구축’, ‘해양수산부·해양공공기관 부산 이전’, ‘HMM 본사 이전’, ‘해사전문법원 설립’ 등 3대 분야 32개 공약을 정당과 후보자에게 제안했다. 이 중 상당수가 이재명 대통령의 공식 공약에 반영됐으며, 후보자도 선거 과정에서 해당 과제의 추진 의지를 수차례 밝힌 바 있다.

박 시장은 “우리 시가 제안한 핵심 현안이 공약에 반영됐지만, 조율이 필요한 사안도 있다”며 “설명과 설득을 통해 부산 발전의 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국정과제 확정까지 남은 초기 100일은 골든타임”이라며 “공약 실행안을 선제적으로 제시해 새 정부의 정책에 반영시킬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이날 회의를 시작으로 행정부시장과 정무특별보좌관을 공동단장으로 한 ‘전략기획단’을 즉시 가동하고, 실시간 정책 대응 체계와 각 부처 협의 채널을 강화할 방침이다. 특히 국정과제화 가능성이 높은 공약에 대해서는 실·국별 실행계획안을 조속히 확정하고, 일부 미반영 과제는 논리와 필요성을 보완해 정부에 제안할 계획이다.

아울러 상공계, 시민사회, 지역 정치권과 연계한 ‘공감대 확대 전략’도 병행해 정부 차원의 정책 수용력을 높이고, 국비 확보 및 공모 대응에도 속도를 낼 방침이다.

시는 조기 대선으로 인수위 없이 새 정부가 출범하는 상황에 대응해, 국정기획위원회 출범 시점에 맞춰 주요 공약과 정책과제를 선제적으로 제안할 계획이다. 특히 트라이포트 기반 교통망, AI 산업 등 타 시도와 경쟁이 치열한 분야는 부산의 특화 모델로 차별화해 제안하고, 조기에 국가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의 협의를 강화할 방침이다.

박 시장은 “부산의 미래를 위한 핵심 정책은 정권에 따라 흔들려서는 안 된다”며 “해양수산부 이전, HMM 유치, 해사법원 설립 등은 부산의 비전이자 대통령이 직접 약속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대통령의 공약은 지역개발을 넘어 국가 비전의 일부다. 모든 소통 채널을 총동원해 부산 공약이 국정과제로 채택되도록 끝까지 책임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