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낙동강 조기 조류경보 발령에 녹조대응 체계 가동

입력 2025-06-04 15:39
경남도가 낙동강 조기 조류경보 발령에 대비해 녹조대응 체계를 가동한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는 지난달 27일 발표된 환경부 ‘2025년 녹조 중점관리 방안’과 연계해 여름철 낙동강 녹조 발생 대응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4일 밝혔다.

현재 낙동강 물금·매리 지점은 지난달 29일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됐고, 칠서 지점도 앞서 지난달 26일 조류 측정 결과 관심 단계 발령 기준인 1000세포수를 초과했다.

기온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 2일 실시한 조류 검사 결과도 기준치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돼 조류경보 ‘관심’ 단계가 향후 발령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따라 도는 환경부 ‘2025년 녹조 중점관리 방안’과 연계해 총체적 녹조 관리 방안을 추진한다.

먼저 낙동강수계 오염원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농촌지역 가축분뇨 퇴·액비 살포와 화학비료 과다 사용을 통제한다. 김해, 창녕 등 집중관리 지역 4곳에 완효성비료 사용, 물꼬 설치, 토양검정시비 등 농업 최적관리기법(BMP)을 확대 보급한다.

또 경남도 녹조 대응 행동 요령의 ‘관심’ 단계 조치사항에 따라 폐수·가축분뇨 배출시설, 개인오수처리시설 등 수질오염물질 배출시설 267곳에 대해 특별 점검을 하고 저감조치를 한다.

녹조 제거에도 적극 나선다. 올해 환경부가 녹조제거선 35대를 도입해 전국 녹조 상황에 따라 운영하는 가운데 경남에는 합천창녕보 1대, 칠서취수장 인근 1대, 창녕함안보 2대, 물금․매리 1대, 남강댐 1대 등 총 6대가 배정된다.

이와 함께 댐과 보의 방류량을 늘려 낙동강에 발생한 조류 개체수를 신속히 감소하기 위해 낙동강홍수통제소 등과 연계 운영에 나선다.

녹조 발생 심화 경우를 대비해 관계기관 간 신속한 대응 및 협업체계를 점검하고 오는 12일 낙동강 하류 녹조 방제 합동훈련도 한다.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주관하는 이 훈련에 도, 창원시, 낙동강물환경센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환경공단, 한국농어촌공사 등 관계기관이 참여해 조류경보 발령 상황을 가정한 기관별 대응 상황을 점검한다.

민기식 경남도 환경산림국장은 “수질오염원 관리를 강화해 녹조 발생을 최대한 저감하고 녹조로 인한 도민 불안감을 해소하겠다”며 “녹조 관리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국가 녹조대응 센터’ 정부 예산 반영과 오염원 저감을 위한 국가 직접 시행사업 협조 등 안전한 물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