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환경공단, 승기하수처리장 산기장치 교체 추진

입력 2025-06-04 14:09
김성훈 인천환경공단 이사장이 승기하수처리장에서 산기장치 표면부 재질변경 사항을 점검하고 있다. 인천환경공단 제공

인천환경공단 승기사업소는 11월까지 약 6개월간 승기하수처리장 생물반응조 2·3계열 산기장치 교체를 한다고 4일 밝혔다.

산기장치는 하수처리장 생물반응조에서 송풍기로 공급된 공기에 의한 상향류로 하수와 활성슬러지를 혼합하고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필요로 하는 산소를 공급하는 핵심 설비다.

공단은 ‘2023년도 승기사업소 기술진단’에서 산기 기관이 노후되고 일부가 파손돼 표면의 포기 상태가 불균일하며 향후 파손 개소수 증가 예상, 송풍량 대비 산소 전달률 및 용존산소(DO)농도 감소 우려 등의 진단을 받았다. 이에 승기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 진행사항을 고려해 중장기 투자 계획을 수립했다.

지난해 생물반응조 1계열 산기장치 3680개를 교체했으며, 올해는 2·3계열의 산기장치 4600개를 4억4500만원을 투입해 교체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공사에는 직원들의 현장 실정 검토를 통해 3년 주기로 교체가 필요한 산기장치 표면부 재질을 안전성과 내구성이 강한 제품으로 적용, 교체 주기를 5년 주기로 연장하면서 경제성과 유지 관리성을 높이게 된다. 또 전체 공사는 승기하수처리장 현대화 사업 예상 추진 시기 등을 고려, 불필요한 예산이 투입되지 않도록 면밀한 검토를 통해 진행한다.

공단은 이번 산기장치 교체 사업으로 승기하수처리장의 안정적 수질 관리는 물론 계절별 송풍기 운영 효율을 높여 온실가스도 연간 약 167.5tco2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성훈 공단 이사장은 “환경전문공기업으로서 계획적인 노후 설비 교체사업을 통해 노후하수처리장의 기능과 성능을 최상으로 유지관리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시설의 안정적 운영을 통해 기술 중심의 경쟁력 확보와 깨끗한 시민 환경 서비스 제공에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