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제21대 대통령이 4일 취임하면서 그의 대선 전북 공약인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가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난달 민주당은 이 대통령의 전북권 공약 7개를 공개하면서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지원을 첫손에 꼽았다. 서울을 꺾고 국내 후보지로 선정된 전주의 하계올림픽 최종 유치를 위해 국가적 지원 체계를 갖추겠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전북을 K-컬처의 중심지로 육성하고 초광역권 연결망을 확대해 ‘글로벌 전북’의 미래를 준비한다는 구상도 내놨다.
이 대통령은 지난달 15일 전주를 방문해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국가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전북특별자치도는 새 정부 출범 이후 가장 시급한 전북 현안으로 정부 주도의 유치지원위원회 구성과 특별법 제정을 꼽았다.
전북도는 이날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지원 관련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국정 과제에 채택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광역자치단체의 역량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국가 차원의 지원과 법률적 뒷받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만 유치 확정 전 특별법 제정이 전례가 없어 정부와 국회 차원의 결심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주는 지난 2월 하계올림픽 유치 국내 후보지로 선정됐으나 정치적·사회적 혼란으로 100일 가까이 정부 차원의 유치지원위원회가 구성되지 못했다. 앞서 동계올림픽을 유치한 강원도 평창은 2002년 8월 국내 후보 도시가 됐고 석 달 뒤 유치지원위원회가 꾸려졌다.
전북도 관계자는 “하계올림픽은 지역 균형 발전, 국가 브랜드 제고, 스포츠 산업 활성화 등 다양한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대형 이벤트”라며 “전주가 국제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이번 기회를 새 정부가 법적, 제도적 기반으로 뒷받침해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관영 전북자치도지사는 이날 ‘새 정부에 바란다’라고 적은 공개서한을 통해 “전북도민들이 파종한 희망의 씨앗을 대한민국의 희망으로 키워달라”고 부탁했다.
김 지사는 “올림픽 전주 유치는 전북을 넘어 대한민국의 도전”이라며 “올림픽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회복 탄력성을 보여주고 국민통합의 계기가 될 것이다. 새 정부가 역사적 도전에 앞장서 달라”고 요청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