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무원을 사칭한 물품 사기 시도가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가운데, 경북 경주에서도 이와 유사한 사건이 발생해 지역 내 업체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4일 경주시에 따르면 지난 2일 한 남성이 자신을 ‘경주시청 주무관’이라고 밝히며 지역 업체에 러닝머신, 책상, 의자 등 운동기구와 사무가구에 대한 구매 견적서를 요청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 남성은 위조된 명함과 타인의 사진을 제시하며 시청의 유선전화가 아닌 개인 휴대전화를 이용해 업체에 접근했다.
다행히 일부 업체가 수상히 여겨 시청 관련 부서에 사실 여부를 문의하면서 해당 사기는 미수에 그쳤다.
시 관계자는 “해당 물품을 구매한 사실이 없으며, 업체의 즉각적인 확인으로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고 밝혔다.
시는 이 남성이 실제 시청 부서에 연락해 직원 실명을 확인한 뒤 이를 사칭 수법에 활용한 것으로 보고 유사 피해 방지를 위해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이 같은 공무원 사칭 물품 사기 수법은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하고 있다.
전북 전주시에서는 공무원을 사칭한 인물이 심장제세동기 등 의료기기 납품을 요청한 사례가 있었으며, 확인 결과 해당 공무원은 존재하지 않는 인물이었다.
수원시, 화성시, 군포시 등지에서도 시청 주무관을 사칭한 인물이 위조된 공문서를 이용해 컴퓨터, 농업용 기자재, 차량용품 등에 대한 견적을 요구한 사례가 잇따랐다. 이들 역시 실존 부서명과 공무원 실명을 도용해 접근했으나 업체의 신속한 확인으로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경남 사천과 거제 등 일부 지역에서는 소방공무원을 사칭해 수산물 납품을 요청하는 사기 시도도 보고된 바 있다.
손기복 경주시 홍보담당관은 “경주시는 공식 문서나 계약 절차 없이 전화나 문자만으로 고액 물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없다”며 “유사한 요청을 받을 경우 반드시 시청 대표전화 등 공식 경로를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당부했다.
경주=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