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에서 1.0%로 재차 하향 조정했다. 지난해 12월(2.1%)에서 올해 3월 1.5%로 하향한 후 3개월 만에 또 낮췄다.
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OECD가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거듭 낮춰 잡으면서 다른 기관의 전망치와 비슷해졌다. 지난달 30일 블룸버그 조사 결과, 국내외 41개 기관의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0.985%였다. 한국은행도 지난달 29일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전망치를 지난 2월보다 0.7%포인트 내려 0.8%로 잡았다.
한국의 전망치 하향 폭은 미국(2.2→1.6%)에 이어 두 번째로 컸다. 일본(1.1→0.7%) 또한 하락 폭이 큰 편이었다. OECD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는 이미 악화한 내수에 충격을 줬으며 1분기 국내총생산(GDP) 감소에 영향을 줬다”며 “대통령 탄핵이 소비자·기업 신뢰 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관세와 국제 무역과 관련한 불확실성은 수출·투자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상호관세로 인한 영향도 상당할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한국은 미국과의 직접 무역뿐 아니라 글로벌 공급망을 통한 간접 노출도 크다”며 “한국 정부는 협상을 계속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 보복 관세는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다.
이같은 요인들을 고려, OECD는 내년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3월 발표와 같은 2.2%로 제시했다. OECD는 올해 물가상승률은 목표치(2.0%)에 근접한 2.1%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다.
OECD는 한국의 재정정책과 관련해 “단기적으로 재정지원이 적절할 수 있겠지만 지속가능한 장기 재정 운용체계(framework) 마련이 병행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모두 30조원 규모의 추경을 제안했는데, 3년 연속 ‘세수 펑크’가 이어진 만큼 재정 여건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권민지 기자 10000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