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시내버스 노조 “일방 비난 억울…처우개선 약속 지켜라” 호소

입력 2025-06-01 10:17 수정 2025-06-01 12:12
창원시 공무원들이 파업 대체버스 운행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창원시 제공

경남 창원 시내버스 노조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파업철회 요구가 거세지는 가운데 노조 측은 준공영제 도입 당시 약속했던 처우개선이 여전히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항변하고 있다.

창원 시내버스는 1일 파업 닷새째를 맞으면서 역대 최장 기간 파업을 기록했다. 불편을 겪는 시민들이 창원시 안내콜센터에 하루 평균 3000건 이상의 민원을 제기하는 등 각계의 파업철회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손태화 창원시의장은 지난달 30일 사흘째 이어진 파업과 관련해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 노사 협상을 재개하자는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시민들의 투표권이 제한 받을 수 있다며 대선까지는 버스 운행을 우선 재개하자는 논리였다.

노조 측은 파업 원인을 노조 탓으로만 돌리는 여론에 반발하고 있다. 이경룡 창원시내버스노조 위원장은 “지난 2021년 준공영제를 도입하던 당시 사측과 시가 임금동결을 요구하며 노조에 부산만큼 처우를 맞춰주겠다고 했지만 약속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호소했다.

당시 부산과의 형평성을 고려해 준다는 약속에 따라 노조가 임금동결에 합의했지만 현재 창원과 부산은 1~3년차 연봉이 1000만원 정도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기사들이 부산 등 처우가 좋은 지역으로 이직하고 창원은 기사를 상시모집하는 상황이라고 노조는 덧붙였다.

노조 측은 “2021년 임단협 이후 4년이 지난 지금 부산과 격차는 더 늘어났다”며 “당시 임금동결에 합의하며 희생을 감내한 버스 노동자를 현재 파업 주범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호소했다.

이번 파업 쟁점은 통상임금이다. 노조는 임금 8.2% 인상과 통상임금에 상여금을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이고, 사측은 임금동결, 수당을 단순화해 임금체계를 개편하자고 맞서고 있다.

거듭된 합의 실패로 창원 시내 전체 시내버스의 95%에 달하는 9개 회사 669대 운행중단 상황이 이어지면서 시민 불편은 가중되고 있다.

창원시는 대체버스 긴급 투입에 이어 출퇴근 시간 임차택시를 330대 추가 투입했고, 경남지방노동위원회를 통한 조정 등 중재를 이어가고 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