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기회발전특구 3차 신청…밀양·창녕·하동 3곳 포함

입력 2025-05-30 11:52
기회발전특구 현황도. 경남도 제공

경상남도는 30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밀양, 창녕, 하동 지역 3곳을 포함한 총 221만㎡ 규모의 부지를 기회발전특구로 추가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3차 신청 대상은 밀양 나노융합국가산업단지(미래 첨단소재·부품지구), 창녕 대합·영남일반산업단지(미래모빌리티 소재·부품지구), 하동 대송산업단지(이차전지 모빌리티 소재지구) 등이다.

기회발전특구는 비수도권 지역에 대규모 기업 투자유치를 촉진하기 위해 세제·재정지원, 근로자 정주여건 개선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제도다.

경남도는 지난해 1차로 고성(해상풍력 지구), 2차로 통영(관광 지구)과 창원(미래모빌리티 지구) 등 총 439만㎡를 신청한 바 있으며, 이번 3차 신청으로 총 660만㎡ 규모의 특구 지정 신청을 마무리하게 됐다.

밀양 미래 첨단소재·부품 지구(72.8만㎡)는 2027년까지 한국카본, 스페이스프로, 보광 등 앵커기업 13곳이 2797억원을 투자해 나노기술 기반 복합소재 및 방산소재·부품 등을 생산할 계획이다.

창녕 미래모빌리티 소재·부품 지구(61.7만㎡)는 2030년까지 유림테크, 세아항공방산소재 등 17개 기업이 4485억원을 투입해 전기차 및 항공기 등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소재·부품 생산단지로 조성한다.

하동 이차전지 모빌리티 소재 지구(86.8만㎡)는 2029년까지 엘앤에프 등 6개 기업이 총 8482억원을 투자해 수산화리튬 생산공장과 폐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경남도는 이번 신청을 위해 시·군과 협력해 주요 앵커기업들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특구계획 수립용역 점검회의도 개최했다.

지난달에는 경상남도 지방시대위원회를 통해 특구 계획을 심의·의결했으며 산업부와 사전협의도 마쳤다.

앞으로 산업통상자원부의 현장 컨설팅과 실무위원회 검토,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의 혁신분과위원회 및 전체회의 심의를 거쳐 산업부 장관이 최종 특구 지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조현준 경남도 경제통상국장은 “앞으로 산업부와 지방시대위원회 일정에 차질없이 대응해 이번에 신청한 3개 지구 모두 특구로 지정되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