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관세 영향 본격화… 생산·소비·투자 다 줄었다

입력 2025-05-30 10:10 수정 2025-05-30 13:17
연합뉴스

산업생산·소비·투자 지표가 석 달 만에 ‘트리플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미국의 품목별 관세(25%)가 발효된 자동차 부문을 중심으로 산업생산이 마이너스로 돌아서는 등 미국발 관세 충격 여파가 가시화하는 모습이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전(全)산업 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5로 전달보다 0.8% 감소하면서 3개월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공공행정 광공업 서비스업 건설업 등 각 부문에서 모두 생산이 줄어들었다.

광공업 생산(-0.9%) 가운데서는 제조업이 자동차(-4.2%) 반도체(-2.9%) 등을 중심으로 0.9% 줄었다.

자동차 생산은 지난해 11월(-6.6%) 이후 5개월 만에 감소세를 보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지난달 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발효한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도 전날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기조가 이어질 경우 한국 산업 가운데 자동차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미국 조지아주에 완공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장이 본격적으로 양산을 시작한 것도 국내 생산 감소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자동차는 기타 친환경차나 특수목적용 등 완성차 중심으로 감소했다”며 “3월부터 조지아 공장이 본격 가동되고 관세 영향도 반영돼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각종 내수 관련 지표도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 등에서 늘었지만 전문·과학·기술, 금융·보험 등에서 줄어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3월(-0.1%)에 이어 감소세가 계속됐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의복 등 준내구재(-2.0%)와 내구재(-1.4%), 비내구재(-0.3%)에서 판매가 모두 줄어 전달보다 0.9% 감소했다. 마찬가지로 3월(-1.0%)에 이어 2개월째 줄었다.

설비투자도 전월 대비 0.4% 감소하며 2개월 연속 줄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9.9%)에서 투자가 늘었으나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4.5%)에서 투자가 줄었다.

건설업 생산을 보여주는 건설기성(불변)은 전월보다 0.7% 줄어 마찬가지로 2개월째 감소세를 보였다. 토목(6.6%)에서 늘었지만 건축(-3.1%)에서 공사실적이 감소한 영향이 반영됐다.

생산·소비·투자 감소에도 3∼4개월 지표 평균을 반영하는 경기종합지수는 상승세를 나타냈다. 현재의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 포인트 상승했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 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3 포인트 올랐다.

이두원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4월 주요지표는 관세 영향 등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 소비심리 회복 지연이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건설업 부진 등으로 전반적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장은현 기자 e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