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직접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7만명을 넘었고, 사회경제적 비용은 13조6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흡연자 사망 위험은 남성은 1.7배, 여성은 1.8배 높았다.
질병관리청은 흡연 폐해 연구 맞춤형 데이터베이스 등 코호트 자료와 통계청 사망 원인통계를 토대로 흡연 폐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과 사망자 수 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추산됐다고 30일 밝혔다.
직접흡연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20년 6만1360명, 2021년 6만3426명, 2022년 7만2689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비흡연자와 비교한 현재 흡연자의 사망 위험은 남성에서 1.7배, 여성에서 1.8배 높았다. 담배를 끊은 사람의 사망 위험은 남성에서 1.1배, 여성에서 1.3배 컸다.
직접흡연에 따른 사회경제적인 비용 역시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2020년 12조8912억원, 2021년 12조9754억원, 2022년 13조6316억원이었다.
사회경제적 비용은 질병으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 교통비 등 직접비와 조기 사망, 의료서비스 이용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과 같은 간접비를 모두 합한 것이다.
2022년 기준 직접흡연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에서는 간접비인 조기 사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이 7조1549억원(52.5%)으로 가장 컸으며 직접비인 의료비가 4조7886억원(35.1%)으로 뒤를 이었다.
의료 이용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 1조1862억원(8.7%), 간병비 4235억원(3.1%), 교통비 785억원(0.6%) 순이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흡연은 각종 암과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가장 대표적인 건강 위해 요인”이라며 “개인 건강뿐만 아니라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는 금연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