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 시내버스 파업이 이틀째 이어진 29일 출근길 시민들히 불편이 커지는 가운데 파업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번 파업으로 창원 전체 시내버스의 95%에 달하는 669대가 운행을 멈췄다. 이날 출근길 버스정류소 곳곳에는 시민 수십명이 시가 임시투입한 대체 전세버스를 기다렸지만 배차시간이 평소보다 길어 직장인, 학생 등이 길에서 시간을 허비하는 사례가 줄이었다.
창원 시내버스 노조는 전날인 28일 새벽 5시 첫차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간 가운데 이날 낮 2시부터 밤까지 사측과 재차 협상을 벌였지만 합의점을 찾는데 실패했다.
2년 만의 창원 시내버스 파업은 통상임금 처리 문제가 발단이다. 지난해 대법원이 상여금 등 각종 수당을 통상임금으로 정의하면서 시내버스 노동자들의 임금을 확대해야 하는데, 이 기준을 따르면 올해만 150억원이 추가로 필요하다.
사측은 수당 등으로 급격히 오르는 인건비를 조정하기 위해 임금을 낮추는 체계 개편 논의를 하자는 입장이지만, 노조 측은 통상임금 문제는 차후로 두고 우선 올해 임금 협상부터 진행하자며 맞서고 있다.
노조 측은 준공영제 시행 대도시 중 창원의 임금 수준이 가장 낮아 만성적 인력 유출의 원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노조는 서울 등 다른 지역이 파업을 유보한 점을 고려해 파업철회 후 협상을 지속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창원시는 협상을 적극 중재하면서도 2주 동안 파업을 이어갔던 5년 전보다 노사 입장이 더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을 고려해 전세버스 추가 확보에 나서는 등 파업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