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내버스 노사 극적 타결… 오후 2시 전후 정상 운행 재개

입력 2025-05-28 13:44 수정 2025-05-28 14:22
서면~사상 BRT 모습. 부산시 제공

부산 시내버스가 반나절 만에 파업을 철회하고 운행을 재개했다. 부산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준공영제를 전면 재점검할 계획이다.

28일 오전 4시20분 첫차부터 전면 멈춰 섰던 부산 시내버스는 오후 1시쯤 노사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2시 전후부터 차례대로 운행을 재개했다. 시내 147개 노선, 약 2500대의 버스 운행이 중단되면서 시민 불편이 컸지만, 하루를 넘기지 않고 파업이 철회되며 큰 혼란은 피할 수 있었다.

부산 시내버스의 전면 파업은 2019년 이후 6년 만이며, 준공영제 도입 이후로는 13년 만이다. 이번 협상은 성과 상여금과 하계 휴가비를 폐지하고, 이를 통상임금에 반영하는 방향으로 임금체계를 개편하는 내용으로 마무리됐다. 이에 따라 실질 임금은 10.48% 인상되고, 정년은 만 63세에서 64세로 1년 연장됐다.

부산시는 이날 오전부터 전세버스 200대를 투입하고 도시철도 및 경전철을 증편 운행하는 등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시민 여러분께 송구하다”며 “이번 타결은 더 나은 교통 환경으로 나아가기 위한 새로운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박 시장은 시내버스 준공영제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2024년 기준 버스 업계는 282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고, 시는 2710억원의 재정을 지원하고 있다”며 “시가 부담하는 금액은 매년 2000억원이 넘고, 누적된 미지급금을 포함하면 부담은 5000억원대를 뛰어 넘는다”고 밝혔다.

이어 “재정 지원의 70%가 인건비로 쓰이고 있다”며 “노사 모두 현실적인 양보와 경영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준공영제가 도입된 지 17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구조적 적자, 교통 수요 감소, 재정 부담 증가 등의 문제가 산적해 있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준공영제를 전면 재점검하겠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번 타결은 끝이 아니라, 시민 신뢰를 회복하고 공공서비스를 재정비하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며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시정을 위해 한 걸음씩 나아가겠다”고 덧붙였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