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만명의 창원시 시내버스가 28일 첫차부터 운행을 멈추고 파업에 들어갔다. 지난 2021년 준공영제 도입 이후 두 번째 파업으로 시내버스 9개사가 참여했다.
시내버스 노사는 27일 경남지방노동위원회에서 2차·3차 조정을 열었지만 최종 결렬되면서 창원 전체 시내버스의 95%에 해당하는 669대의 운행이 중단됐다.
27일 낮 2시부터 진행된 2차 조정은 자정 무렵 노사의 동의로 새벽 3시까지 조정기한을 연장해 3차 조정에 들어가는 등 추가 협상을 했지만 결국 합의점을 찾는데 실패했다.
노사는 지난해 12월 대법원 판결에 따른 정기 상여금의 통상임금 반영, 임금 8.2% 인상, 정년 63에서 65세 연장 등의 사안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쟁점적으로 불거진 갈등은 다른 시도와 같이 통상임금이다. 사측은 통상임금 문제로 인건비 급증이 예상된다며 통상임금과 임금체계 개편을 함께 논의하자는 입장인데 반해 노조는 통상임금과 임금협상은 분리해서 적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준공영제를 운영 중인 창원시는 파업 첫날 강경한 대응을 예고했다. 시는 이날 ‘창원 시내버스 노조 시민불편은 뒷전, 누구를 위한 파업?’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노측을 비판했다.
통상임금과 관련해 가장 치열하게 협상을 진행한 서울시는 협상결렬에도 노측에서 파업을 유보했는데 창원 버스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것은 시민불편은 안중에 없다는 뜻이라고 지적했다.
창원시의 입장에는 준공영제 도입 이후 시내버스 재정지원이 큰 폭으로 증가한 부담감이 반영돼 있다. 시의 시내버스 재정지원 규모는 준공영제 시행 전인 2020년 586억원에서 2024년 856억원으로 약 270억원 늘어났다.
이번에 노조 측 주장을 받아들여 통상임금과 임금 인상으로 인한 인건비 증가액 330억원이 반영되면 재정지원 규모가 1200억원으로 불어난다며 노조 주장 수용불가 입장을 밝혔다.
파업 첫날 시는 비상수송대책으로 전세버스 170대, 시 소유 관용버스 10대, 임차 택시 330대 등을 투입했지만 평소 운행되는 시내버스의 42% 수준에 그쳤다.
노사는 이날 오후 2시부터 협상테이블을 재가동한다.
창원=이임태 기자 si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