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노조의 파업이 현실이 됐다. 28일 부산과 창원 시내버스가 일제히 멈춰서면서 시민 발길이 출근길부터 묶였다. 노조·사측·지자체의 책임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울산과 광주에서도 파업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
부산에서는 이날 오전 4시20분 첫차부터 147개 노선, 2500여대 시내버스 운행이 전면 중단됐다. 이와 연계된 8개 마을버스 회사 소속 69대도 함께 운행을 멈추면서, 북구·부산진구·사하구 등 일부 지역의 대중교통 공백이 더욱 가중됐다.
부산 시내버스의 전면 파업은 2019년 이후 6년 만이다. 당시에는 첫차 일부만 영향을 받았으나 이번에는 노사 협상이 새벽 2시까지 이어졌음에도 결렬되며 결국 파업이 현실화했다.
쟁점은 지난해 대법원판결에 따른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과 노조의 ‘임금 8.2% 인상’ 요구다. 사측은 연간 472억원의 인건비 부담이 추가된다는 이유로 수용 불가 입장을 고수했고, 준공영제를 운용하는 부산시도 사측 입장에 동조했다.
노조는 부산시가 노동위원회 중재안까지 거부했다며 파업 책임을 시로 돌렸다. 반면 시는 “협상 당사자는 노사”라며 “부산 노조만 유독 파업을 단행했다”고 반박했다. 조정 결렬 이후에도 노사는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시는 이날부터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했다. 200대 전세버스를 46개 임시노선에 투입해 도시철도역까지 수송하고, 도시철도·경전철은 출퇴근 시간 1시간 연장, 평일 기준 50회 증편 운행한다. 택시 집중 배차, 승용차 요일제 및 버스전용차로 해제 등의 대책도 시행 중이다.
같은 날 경남 창원에서도 전체 시내버스의 95%에 달하는 669대가 멈췄다. 2021년 준공영제 도입 이후 두 번째 전면 파업이다. 노조는 통상임금 적용과 임금 8.2% 인상, 정년 연장 등을 요구하며 협상 결렬을 선언했다.
창원시는 “준공영제 이후 재정지원이 연 586억원에서 856억원으로 증가했는데, 노조 요구를 수용하면 1200억원으로 늘어난다”며 “노조가 시민을 볼모로 준공영제의 근간을 흔들었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울산과 광주도 파업을 둘러싼 갈등이 진행 중이다. 울산은 이날 첫차 전 파업이 예고됐으나, 노사가 협상 시한을 오후 1시까지 다섯 차례 연장하며 시내버스는 정상 운행됐다. 702대가 멈출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광주는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89.2% 찬성으로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28일 2차 조정 회의가 결렬되면 29일부터 파업할 수 도 있다.
서울은 협상 유지를 전제로 파업을 유보했고, 인천·경기도 등은 중재 시한 연장으로 운행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부산과 창원은 노사 협상이 벼랑 끝 대치로 이어지면서 다른 지역과 대비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시민들의 불편이 이어지는 가운데 각 지자체는 노사 협상 추이를 지켜보며 비상수송대책을 강화하고 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