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가 시내버스 노조의 총파업 예고에 대응해 전면적인 비상 수송 대책을 가동한다. 부산 시내버스 노사는 파업을 하루 앞둔 27일 부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최종 조정에 나섰다.
노조는 임금 8.2% 인상과 정년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사측은 경영 여건을 이유로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협상 타결이 늦어지고 있다.
시는 노사가 타결에 이르지 못할 경우 28일부터 비상 수송 체계에 돌입한다.
가장 핵심적인 대응은 전세버스 긴급 투입이다. 시는 도시철도와 마을버스가 없는 지역을 중심으로 46개 임시 노선을 운영하며, 전세버스 200대를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까지 15시간 운행할 방침이다. 이용 요금은 전면 무료다. 노선별로 공무원 안내 인력이 1명씩 탑승해 안내를 맡는다.
구·군별 노선은 부산진구 5개, 사상구 5개, 강서구 5개, 남구 5개 등으로 배정됐다. 나머지 구·군에도 1~4개씩 임시노선이 마련돼, 도시철도역까지 연계 수송이 가능하게 했다.
도시철도와 부산·김해경전철도 혼잡 시간대 증편 운행된다. 도시철도는 평일 기준 50회, 경전철은 10회가 늘어난다. 출퇴근 시간대도 1시간 연장해 오전 7시10시, 오후 6시9시까지 운행할 예정이다.
택시 부문에서는 법인·개인택시 조합에 쉬는 차 최소화를 요청했고, 버스 정류소는 임시 택시승강장으로 개방해 승객 수송을 지원한다.
승용차 이용 유도도 병행된다. 시는 파업 기간 승용차 요일제를 해제하고,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의 통행을 허용한다. 단, 버스전용차로 내 신호 체계 준수 등 운전자 주의가 필요하다.
시는 기업체와 각급 학교에 출퇴근 시간 조정을 요청해 교통 혼잡을 분산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이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